전기가오리 공부 모임을 위해 샀다. 주중에 라이브로 접속해서 들을 자신이 없어서 신청만 해두었다가 오늘 들었다. 설명을 듣기 전에 예습 겸 정해진 분량을 읽어두었다. 설명을 듣고 해당 부분을 다시 읽으니 이해의 폭이 확연히 달라져서 깜짝 놀랐다. 그간 얼마나 많은 책을 오독했을지 생각하니 아연해진다.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치와 당위의 세계(규범, 의무, 도덕)'와 '사실의 세계(자연, 관찰)'라는 서로 다른 두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 두 세계를 혼동해 사실에서 당위를 도출하는 것은 오류이며, 우리는 이것을 사실-당위의 오류(이 책에서는 자연주의적 오류가 동의어로 쓰인다)라고 부른다.
저자 로레인 대스턴은 사람들이 자연에서 도덕을 끌어내는 것, 즉, 사실과 당위를 혼동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이 인간의 비합리성의 산물이 아니라 인간의 이성, 즉, "합리성의 인간적 형태에 관한 사례 (13)"라고 보고, 인간은 왜 사실(자연)에서 가치(규범)를 찾으려하는지를 탐구한다.
19세기 영국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처럼 자연 질서를 도덕적으로 메아리치게 하는 데 반대하는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사례를 염두에 두고 자연주의적 오류가 논리적으로 거짓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도 해롭다고 비난했다. "자연이 죽이기에 우리도 죽여야 하는 게 옳고, 자연이 고문하기 때문에 우리도 고문해야 하는 게 옳고, 자연도 그러니 우리도 망치고 파괴해야 하는 게 옳은가? 만약 아니라면 우리는 자연이 하는 일을 전혀 생각하지 말고, 그저 선한 일을 해야 한다." (12)
여기에 적은 내용은 이 책의 도입부이다. 이어서 그는 자연의 의미를 세 가지 제시한다. 특정(종 특유의) 자연, 지역적 자연, 보편적 자연법칙이다. 이에 대한 내용과 이어지는 내용은 공부하면서 천천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이것은 집단 비합리성의 단순한 사례가 아니라 오히려 바로 합리성의 인간적 형태에 관한 사례다. 그렇기에 이는 철학적 인간학의 주제다. 나의 연구 방법은 자연 속 가치의 탐구를 촉진하는 직관의 근원을 발굴하는 것이다. 다양한 시대와 장소에서, 이러한 직관은 자연과 문화 자체의 풍부함만큼이나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로 자신을 표현해왔다. 하지만 자연에 기반을 둔 다양한 규범들의 저변에 있는 핵심 직관에는 모종의 공통점이 있다. 그 핵심에는 사실과 이상으로서 질서를 바라보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 P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