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시대에 뒤쳐진 습관
  종이신문을 들고 다니면 '지성인'으로 취급받던 시기가 있었다.
  그때의 신문은 읽기에 참으로 불편한 것이었다. 

  어쩌면 그 불편함이 '지성인'에 들지 못들지 구분하는 잣대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적어도 '지성인'이라면 불편한 신문을 '해석'해 내는 힘든 작업을 거친 후에
  '세상 참.. 이래서는.. 이래야 하는데..' 라고 한마디 뱉어내야 하는거랑 생각했다. 

  그래서, 가부장제에 익숙한 몇십년전 이 땅에서조차 그 역할은 아버지의 역할이었고,
  아버지의 권한을 세워주는 중요한 무기가 되기도 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지금이야 그 불편함(세로쓰기, 한자)이 다 사라져 버린 착한 신문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어느새 힘센 아버지의 시대가 가버린 것처럼 신문을 읽는 사람이 힘 쓰는 시대는 가버렸다.
  아직 신문을 읽는 나같은 사람과 신문사에 밥줄을 맨 사람들은 아니라고 우기지만,
  그건 어짜피 우기는것.  

  이제는 새벽에 일어나 현관앞에 있는 신문을 들고 들어와
  책상다리를 한 채 바닥에 깔린 신문을 쓱 읽는 '촌스런 사람이 없어지고 있다. 

  어떤 사건이 터졌을때 그걸 제일 먼저 알려주는 것은 TV가 선점을 해버렸다.
  그나마 짧은 사실 위주의 보도에서 더 깊게 들어가 내면을 알고 싶어하는 욕구를 해결해 주던
  신문의 역할도 이제는 인터넷 신문이 죄다 뺏어가 버렸다.
  그건 어찌보면 신문보다 기자의 밥그릇을 뺏는것이 더 문제가 된다. 더 깊은 소식, 더 앞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옛날에는 어느곳에서도 그것을 해결할 수 없었다. 그 소스와 내용을
  '기자'라는 사람들이 모두 알고 있었고 나누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제는 '블로거'라는 듣도 보도
  못했던 아마추어들이 '기자'보다 더 많은 소식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제 권위 있는 가부장의 말은 손자들의 클릭질로 얻은 지식보다 밀리는 세상이다. 
  밀리지 않으려면 인터넷을 배워 RSS 피드를 받아보고, 무선으로 속보를 챙기고,
  적어도 한두개의 블로그는 운영해야 할까? 아.. 트위터도 하나 생겼다.  

  내가 신문을 읽는 이유는 따로 있다. 어쩌면 인터넷에 피로해졌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인터넷의 변화에 따라기 벅찬 나이듦에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무렴 어떤가.
  내가 좋다는데... 

  하나. 실시간 업데이트 압박에서의 해방감
  실시간 지식의 유입에 허둥대는 내 머리에 휴식을 주기 위함이다. 신문을 대할 때면, 더이상의
  업데이트를 걱정할 필요없다. 그저 그 시점에서 가장 충실한 정리본을 받아보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업데이트의 압박에서 해방돼 편안하게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  

  둘. 나와 이야기 할 수 있는 단방향성.
  인터넷의 기사들과 글에서는 수 많은 쌍방향 메시지가 난무한다. 이렇게 생각하지 말고 저렇게
  생각한다는 다른 사람의 의견. 이렇게만 보지 말구 그렇게 봐야 제대로 본다는 주장.
  그 속에서는 나는 어느것이 '옳바른 것'인지 파악하기 위해 머리를 굴린다.
  신문은 나하고 이야기하게된다. 남의 이야기에서 진실과 사실을 유추하느라 놓치는 '나'의
  생각과 '나의' 느낌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  

  셋. '접속'의 단절에서 얻게되는 '축적'
  인터넷은 '접속'의 연속성이 가장 큰 장점이다. 내가 '축적' 할 필요없이 누구라도 '축적'해 놓은
  것에 가장 효과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면 된다. 신문은 '접속'이 불가능하다. 인터넷 신문의
  링크를 따놓으면 된다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그보다 나의 '머리속'에 잘 축적해 놓는 것이
  더 큰 장점이라고 말하고 싶다. 링크는 그 모습 그대로 찍어서 보관하는 것이라며, '축적'은
  나의 삶의 궤적에서 얻어진 생각과 연결되어 '나에게 맞게' 변형되어 '보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넷. 오프라인의 손 맛.
  종이에 찍힌 활자의 매력은 '네이티브 온라인'이 알 수 없는 매력이다. 어느정도 익숙해져야
  느낄 수 있는 그런 맛. 그건 '네이티브 오프라인'이 온라인의 매력을 뼛속 깊이 느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나는 오프라인에 익숙하기에 이 맛을 계속해서 보고 싶다.
  보통 사람은 낯섬을 즐기기 보다는 익숙함에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더 좋아하지 않을까? 

  그외에도 신문은 명절에 전을 부치거나 튀김을 할때 튀는 기름이 바닥에 뭍지 않게 깔아주는
  데 쓰기도 하고, 야구장에서 햇빛을 피하는 모자로, 잘게 찢어 응원도구로 쓰기도 한다.
  추울때 덮고 자기도 하고, 비가 오면 비를 잠시 피할 우산대용으로도 사용한다.
  야외에서 바지에 흙이 뭍지않게 깔아주기도 하고, 생선이나 고기를 싸는 포장지로도 쓴다.  

  이 모든 것들 때문에 난 아직도 신문을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