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웹 이후의 세계
김국현 지음 / 성안당 / 2009년 6월
평점 :
'웹 이후의 세계'라고 제목이 달려 있습니다.
도발적인 부제 '이것은 단순히 웹의 이야기가 아니라 경제와 정치의 이야기다.
IT, 이제는 대한민국을 바꿀 힘!'까지 달려 있습나다.
책 표지는 어찌 보면 생물학 책 같습니다.
붉은 핏줄(?)이 얽기섥기 엮여 있다고 하면 무식해 보일까요?
아무튼 제목은 '웹 뒤의 세계'인거 같습니다.
웹 이후의 세계라고 하니 진짜 웹 이후의 어떤 것이 있는것 같은데요.
사실, 웹 이후라고 불릴만한 것은 글쎄요.
아직까지도 웹 2.0이라는 단어가 통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웹 2.0의 실체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이 책의 내용은 도발적인 제목과 표지가 없어도 충분히
가치를 가질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굳이 자극적인 마케팅 기법을 쓰실 필요가 있었는지
출판사에 묻고 싶네요. 사실, 저자가 주장해서 이렇게 제목을 달았을거 같지는 않습니다.
내용은 모두 다 읽으려고 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자신에게 와 닿는 챕터만 골라서 읽는것이 솔직히 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활용에 대한 이야기는 흥미 진진했지만
어딘가 '철학'과 '사상'을 논하는 챕터는 그렇게 와닿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자의 글 쓰기 능력 중 대단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그림과 챕터 말미에 들어 있는 '요약'하는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점은 기술의 구현과 구조를 단순화시켜 보여주는 면에서는 탁월합니다만,
조금 미안하게도-늘 이런 것은 개인적인 느낌입니다. 객관이 아닌 주관이죠 -
사상이나 철학을 이야기 할때는 깔끔함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이 책의 내용은 다 읽지 않더라도
모든 챕터 말미에 한두줄로 요약된 빨간 글씨는 꼭 읽어두시기 바랍니다.
'엑기스'라 말 하는 건 바로 이런걸 두고 하는 말이구나 라는 것을
아실것입니다.
웅 그리고 이 책은 어찌 보면 교양서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웹서비스로 밥 빌어 먹고 사는 사람들에게는
피튀기는 현실감 보다 한 발자국 떨어져 조망하는 풍경화 같은 내용입니다.
당장 서비스에 접목할 현실적 내용이 부족하다고
구석에 처박아 둘 내용은 더욱이 아닙니다.
교양을 갖추는 것이 무례한것보다는 훨씬 나으니까요.
(무슨 얘긴지 저도 모르겠습니다)
저에게는 '클라우드'의 가능성과
모바일 서비스의 철학적 정리가 꽤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