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덮었을때 들었던 느낌은 다른 무엇보다 진정한 '그림책'보는 즐거움을 주었다는 것입니다. 그림책이라고 하니 아이들보는 '동화책'을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신겠지만 '그림'에 대한 내용이라 '그림책'이라 한것이니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이 책은 읽을때 수준높고 똑똑한 저자의 호흡을 쫓아가느라 책 앞뒷장을 구차하게 찾아헤매지 않아도 됩니다. 보통의 그림 설명하는 책들을 보면 아주 커야 손바닥 크기만한 그림 하나 걸어놓고 그림에 대한 설명을 이야기 합니다. 아무리 눈이 좋고 인쇄상태가 좋아진 현대 칼라책이라 하지만 저자들이 이야기하는 '감동적'인 장면이나 눈에 띄는 어떤 느낌을 찾으려면 가슴만 답답해질 뿐입니다.

이 책은 진정한 우리나라 '미술'에 대한 책이라 이야기할만 합니다. 우리들 그림보기에서 누누히 듣던 '여백의 미'라는 여유와 공감대 그리고 넉넉함을 발견할 수 있으니까요 저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친절하게도 그림을 부분확대!, 설명선 첨부! 라는 지극히 일반화된 방법을 사용합니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방법이었으나 다른 사람들이 시도하지 않았던 방식의 책 구성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그다음 이 책은 그림 감상법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모든 사람이 다 아는 것이라 생각되지만 알지 못하는 중요한 것이라고 할까요? 적어도 우측 상단에서 좌측하단으로 그림을 읽어야 한다는 그런 방식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원래 세로쓰기 방식으로 우측에서부터 시작했었으니까요. 그외에도 그림은 천천히 보는 것-너무 당연하지 않습니까? 움직이는 동영상도 아니고 - 등 모두 알것이라고 착각했던 기본기들을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그림읽기에 대한 기본기를 닦아준 저자는 그림에 대한 애정어린 설명을 해줍니다. 다른 곳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대로 옮긴 내용이 촌스럽지 않고 마치 같이 그곳에서 이야기를 듣는듯 느껴지는 것은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는 방식 그대로 옮겨왔기 때문일겁니다. 보통의 그림읽기관련 형식의 글쓰기는 뒷편에 부록으로 묶인 부분에 나옵니다. 보통의 그림읽기 형식으로 설명된 동일한 그림을 책본문의 내용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똑같은 저자, 똑같은 그림인데 하나는 재미도 없고 하나는 살아움직입니다. 신기하지 않습니까?

대부분을 직접 보지 않고 머릿속에서만 느끼는 사람들에게 진짜로 그림을 보는 것 같이 만들어준 책이기 때문에 그림에 대한 감동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머리로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가슴속에 그림을 담을 수 있게 된거죠. 그림에 대해 무지한 보통 사람이 이렇듯 구구절절히 이야기하는 것을 봐도 이 책 참 재미있을것 같지 않습니까? 확실히 즐거운 그림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