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 - 보급판
리처드 파인만 강의, 폴 데이비스 서문, 박병철 옮김 / 승산 / 2003년 1월
평점 :
우리나라 주입식 교육의 충실하면 할수록 학문에 대해 흥미를 가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인듯 합니다. 그런의미에서 저는 과학이란 학문에 대해서 지독히도 많은 흥미를 잃고 말았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과학이랑은 그다지 가깝지 않은 일을 하고 있지만 어려서부터 누구나 '과학자'라는 멋진 상상과 '과학'이란 학문에 대한 동경심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과학과 관련된 책들은 '쉽게'쓴다고 쓴 책을 봐도 그다지 쉽지 않았습니다. 특히나 '원론'과 관련되는 책들은 더더욱 그렇죠. 어떤 과학책이던 '원론'이나 '개론'이라는 말이 붙어있는 책들은 말 그대로 근본적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를 잃게 만드는 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인 것들이 대학에서 배우는 '~學槪論'입니다.
이 책을 읽고나서 책이 '쉽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조금이라도 '물리학'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책은 쉬운 책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이 책은 '친근한' 책입니다. 파인만이란 사람이 굉장한 천재였다고 합니다. 저는 그 사람이 어느정도의 천재였으면 얼마나 대단한 일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수도 없고 그다지 알리고 싶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그의 대단함과 그의 장점은 이 책을 자기들의 제자들을 위해 썼다는 것입니다. 정확히는 강의노트였죠. 자기들의 제자들을 위해서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을 얼마나 쉽게, 그리고 얼마나 친근하게 전해주려고 노력했는가 하는 것이야 말로, 파인만 교수의 진정한 장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모습이 바로 이 책에서 보통의 사람이 발견해야 하는 점이구요.
이 책을 읽고나서 '물리학'에 대한 기본기가 잡히기를 바라십니까? 천재가 아닌이상 책한권 읽고 '물리학'을 알기를 바라시는 욕심부터 버리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 책을 읽고 무엇을 기대하냐구요? 네.. 저는 다른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나서 과학은 '친근'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기를 바랍니다.
이 책의 어려운 곳은 과감하게 건너 뛰며 읽어도 파인만 교수의 과학에 대한 애정과 그가 우리에게 알리고자 하는 열정만큼은 놓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큰 부담없이 읽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나서 과학-그중에서도 물리학이 친근하게 느껴진다면 이 책은 충분한 역할을 했다고 생각됩니다.갑자기 과학에 대한 흥미가 생기지 않습니까? 파인만 교수의 멋진 결론 중 한가지가 생각납니다.'이제부터 수프를 식혀 먹으려면 입으로 열심히 불도록!'(p55)이 말이 얼마나 거창한 이야기 뒤에 나온 결론인지 알게 되면 파인만 교수를 떠올리며 빙긋 웃게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