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재들의 실패
로저 로웬스타인 지음, 이승욱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월가. 월스트리트라고도 불리는 곳의 이야기입니다.
요즘 서브프라임모기지 때문에 불거진 경제충격의 근원지이기도 하지요.
그 옛날 이번 충격의 예지인듯한 사건이 하나 있었습니다.
LTCM(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 로 기억하는데 맞나 모르겠네요)의 파산 사건이 있었습니다.
정확히 어떤 사건인지 모릅니다.
아무튼, 뭔가 대단한 회사 하나가 파산을 했고,
나름 굉장한 이슈가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정확하게 기억을 못하는 이유는. TLCM의 세계와 그들이 벌려 놓은 일이란 것이
보통사람의 이해수준을 넘어섰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어보면 그들(월가)의 세계가 실제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이름만 들어본 월가의 유명 금융회사들의 CEO들과 신문에 나오는 유명인사들
(그린스펀, 워렌 버핏 등)이 실명으로 등장합니다.
다큐멘터리도 그렇다고 소설도 아닌 그 중간단계의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천재들의 등장과 그들의 몰락
우리나라 속담으로 하면 '제 꾀에 제가 넘어갔다'라는 표현이 딱 맞는 일을 벌입니다.
그들은 너무 똑똑해서 일반사람들은 생각할 수 없는 일을 벌렸던 것이죠.
그리고 그들의 똑똑함에 혹해서 많은 사람들이 홀딱 넘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이 세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대다수의 보통사람들.
보통사람들의 거대한 물결에 똑똑함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죠.
결국, 천재들은 몰락합니다.
이유는 바로 대다수 보통사람들의 마음을 읽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너무나 논리적인 수학과 공식,
그 아름다워 보이는 숫자의 세계로는 사람들을 정확하게 그려내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책에 나온 표현 하나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지금 불도저 앞에서 동전을 줍고 있는 것이오"
이 책의 핵심은 이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포지셔닝과 스프레드, 그리고 책에 나오는 어려운 경제용어들(일부 분들은 쉽겠지만)을
120% 이해하고 있고, 너무 천재라해도.
불도저를 운전하는 사람의 마음(바로 이 책을 100% 이해 못하는 대다수 나같은 보통사람)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죠. 그러니 불도저 앞에서 동전줍는 것이 아무리 안전하다고 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그 말을 100% 믿지 마시라는 것.
그말이 숫자로 딱 떨어지는 논리와 노벨상이라는 권위로 포장되어있다고 해도 말이죠.
※ 이 책을 100% 재미있게 보기 위해서는 두가지 난관을 넘으셔야 합니다.
첫째는 천재들이 만들어냈다는 파생상품을 이해하는 것(전 잘 모르겠어요)과
둘째는 영어투 그대로 번역된 글을 읽으며 우리나라 말로 재 배열하는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