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두 살에 영화를 처음 봤단다.

양들의 침묵퐁네프의 연인들

그게 1992.

1996, 영화 악어로 감독 데뷔.

2012, 영화 피에타로 베네치아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

그가 만든 영화 을 본 적 있다.

감동적이지도 짜증나지도 않았다.

이번 영화의 구조는 바닥-만남-변화-반전이란다.

---의 그만의 변형인 셈이다.

그의 시작은 바닥이다.

자칭 열등감을 먹고 자란 괴물이라고 한다.

중졸에 청계천과 구로공단 출신이다.

2008영화는 영화다를 함께 만들었던 제자 장훈감독이 대형 투자 배급사와 손잡고 자신을 떠나가자 자본주의의 유혹에 빠졌다며 실명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와 악어를 공통 키워드로 오늘 신문의 또 한 사람이 내 시선을 끌었다.

전남 신안의 전기도 안 들어오는 시골에서 자랐으나 지난 73,000만원 짜리 악어백을 만드는 이탈리아 회사 로메오 산타마리아를 인수한 회사 신원의 회장.

오늘 자 중앙일보 B6의 기사는 신원 홍보실에서 써준 기사를 김호정이라는 기자가 자기 이름으로 낸 것일 것이다.

 

가장 반자본주의적 감독에 대해 자본주의의 첨병인 언론들이 취재 경쟁을 벌이고 있다.

가장 자본주의적인 기업이라는 조직은 기사 비슷한 것을 실으며 광고비를 내야 한다.

자본주의는 반자본주의에 열광한다.

반자본주의는 자본주의에 얹혀 달린다.

극과 극은 통한다고 한다.

나는 서울에서 대표적인 자본주의적인 아파트에 얹혀 살면서 이렇게 자본주의를 까고 있다.

 

아 참,

홍보실 담당자와 기자님! 회장님 학력 다시 확인해 보세요!

거기 졸업하시지 않으셨어요.

이탈리아엔 악어가 살지 않았듯이...

하지만, 지금 이탈리아 동물원엔 악어도 살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