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쇠러 파주 북시티와 헤이리를 다녀왔다.

북시티에서는 나비박물관, 아시아출판센터를 거쳐 출판사 살림의 엘리스 하우스에서 책도 사고, 엘리스 기차도 탔다.

엘리스 하우스의 담장 대신 놓인 철길을 따라 한 바퀴 도는 엘리스 기차는 탁월한 미케팅이었다.

승차권을 얻기 위해 3만원 이상 구매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커피와 책에 관한 소책자, 그리고 오는 수요일 생일을 맞는 사진 좋아하는 매니저 선물로 우리 아파트에 산다는 지섭의 사진집을 샀다.

 

갑자기 아내가 결혼 5주년 즈음에 갔었던 헤이리를 가잔다.

그때 한길사에서 운영을 시작한 이탈리안 레스토랑 Foresta에서 파스타와 피자를 먹었던 추억을 더듬어 보고 싶어했다.

레스토랑은 북 카페로 바뀌어 있었다.

2, 3, 4층을 쭉 둘러 봤다.

120권을 돌파한 한길그레이트북스, 함석헌저작집 30,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시리즈,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들로 책들은 넓은 공간에서도 주눅들지 않았다.

 

책 한 권이 눈에 들어왔다.

호모 에티쿠스.

누런 표지색 그대로였다.

판은 여전히 1판이었고, 쇄는 거듭하여 23쇄였다.

10년 전에 읽은 책으로 당시 감명 깊었고, 집에 책 둘 곳이 없어 여러 차례 솎아 낼 때마다 다시 읽어 보아야 할 책으로 버려지지 않은 책이다.

김상봉교수.

어떤 인간은 자신과 아무 관계도 없는 타인을 위해 죽기조차 한다.

칸트

더 이상 기억 나는 게 없었다.

황당하고, 당황스럽다.

이럴 거면 도대체 책은 왜 읽는 건지

 

집에 오자마자 찾아 폈다.

1999, 1판 제3.

신림동에서 사법시험 공부할 때다.

여백 메모에 어머니가 자주 등장하는 걸 보니 당시 아버지와 나 사이에서 어머니가 많이 힘드실 때였나 보다.

적자생존.

적는 자만이 살아 남는다.

글로 쓴 것, 요약되어 누가 툭 치면 바로 튀어나오지 않는 것은 다 삭제된다.

그래서 이렇게 적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