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목 <유혹하는 글쓰기>을 보면 우리나라 출판가들의 제목 뽑기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하게 한다. 이 책의 원제목은 소박하게도 ‘On Writing’ ‘글쓰기에 관하여’다. 도저히
‘아프니까 청춘이다’류의 얄궂은 제목으로 독자를 유혹하려는 욕심 따위는 보이지 않는다. 이 책이야말로 ‘자서전적인 글쓰기에 관한 책’이다. 두 권의 책이 이 책을 구성하고 있다. 그 중 첫 번 째 책은 스티븐 킹의 살아온 이야기이고 두 번 째 책은 물론 그의 유머감각이 가미된 글쓰기 방법이 되겠다. 일부 독자는 그의 자서전적인 내용이 글쓰기와는 전혀 상관이 없으니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 자서전적인 내용을 읽어본 독자는 알겠지만 친한 친구에게도 털어놓기 힘든 주로 고단했던 그리고 아픈 사생활이다. 그런 내용을 독자들에게 공개한 이유는 어찌됐든 그런 고단했던 삶의 경험들이 자신의 글쓰기에 밑거름이 되었기 때문이다. 자서전적인 요소는 그의 글쓰기의 밑바탕인 동시에 그에게 많은 영감을 준 경험이기 때문에 글쓰기와 따로 떼어서 생각하지 못한다.
스티븐 킹이 이 책에서 말하는 글쓰기의 방법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 가능하다.
첫째, 많이 읽어야 한다. 글쓰기는 독서의 최종 종착역이며 글쓰기의 출발역은 독서다. 독서를 하지 않고 글을 쓸려고 하는 사람은 쌀 없이 밥을 짓겠다는 겪이다. 아무리 현대가 정보를 자신의 머릿속에 두지 않고 정보의 출처를 찾아서 사용하는 시대라지만 기본적인 지식이 없이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는 능력이 있을 리 만무하다. 글을 쓰기 위한 영감은 머릿속에서 생기지 않고 경험 속에서 생기고 그 경험의 대부분은 간접 경험 다시 말해서 독서를 통해서 얻는다. 독서를 강조하지 않는 글쓰기 교재는 세상에 없다. 둘째 수동태를 가급적 사용하지 마라. 정작 우리말보다는 영어가 수동태를 더 빈번히 사용하는 언어다. 최근 우리나라 사람이 쓴 글에서 자주 등장하는 수동태는 상당부분 영어의 번역어법에서 비롯된다. 영어를 오랫동안 공부하고 가르쳐온 필자 같은 경우는 더욱 더 피해가 심해서 급기야 능동태를 쓰면 뭔가 ‘대담한’ 글을 쓴 착각이 들 정도다. 수동태가 좀 더 안전한 느낌은 들지만 자신의 메시지에 자신이 없어 보이고 글의 힘이 확실히 떨어진다. 필자가 영어를 전공하면서 가장 폐해가 심한 부분이 바로 수동태의 남발이다. 이제는 완전히 몸에 체득이 되어서 고치기 힘들다. 그러니 이제 글쓰기를 시작하는 사람은 수동태를 장마철의 빗방울처럼 피해 다녀야 한다.
셋째 부사를 가능한 사용하지 말라. 글을 장황하게 길게 쓰면 어쩐지 유식해보이고 글을 잘 쓰는 사람이다라는 이미지를 준다는 미신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가능한 문장을 길게 늘여서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진다. 그러나 명문장은 짧은 문장이지 긴 문장이 아니다. 같은 뜻을 전달하면서 길게 늘여 쓸 이유가 없고 그렇게 못한다면 자신의 문장력에 대한 무능을 광고하는 겪이다. 넷째는 역시 많이 써봐야 한다. 습작을 거치지 않은 위대한 작가는 없다. 글을 쓰는 사람에게 습작과 연습은 낭비되는 노력이 아니다. 그 습작이 명작은 되지 못하기도 하지만 명작의 좋은 밑거름은 된다. 거름 없이 자라는 좋은 농작물이 없듯이 습작이라는 양분이 없이는 결코 명작은 탄생하지 않는다. 이 책이 자서전적인 요소가 많지만 어쨌든 스티븐 킹은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알려줄 방법은 다 알려준 셈이다.
본인의 저서 <아주 특별한 독서>의 일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