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기관 우수 저작물 지원 공모 사업 심의를 맡았었다. 벌써 3번째 심의라서 별 감흥은 없었다. 대면 심사 당일까지 나와 함께 수필 분과를 심의해야 할 분이 누군지 모르는 시스템이다. 사전에 우리에게 배당된 도서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고 의견을 모두 제출하기 때문에 최종 심의 때는 이견조율 정도로 끝난다. 어쨌든 대면 심의하러 서울까지 올라갔는데 심의 장소가 알고 보니 옛 서울대 본관 건물이었다고. 과연 건물 내부가 예스럽고 귀족적이었다. 


삼십 분 전에 도착했는데 나와 함께 심의하는 위원 분은 더 일찍 도착하셔서 나를 기다리고 계셨다. 멀리 제주도에서 오셨다고. 그런데 그분 좌석 앞 명패를 보니 뭔가 낯이 익다고 생각하였다. 심의를 마칠 때쯤에 이르러 그분이 혹시 내 대학은사님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대학 은사님을 한눈에 못 알아보는지 의아할 터이지만 내가 다닌 대학 영문과는 교수님이 20명에 육박했다. 물론 모두 정교수만 그랬다. 


그래서 졸업할 때까지 한 번도 강의실에서 만나지 못하는 교수님이 여럿 있었는데 그분도 나에겐 그런 경우였다. 함자와 명성만 들었을 뿐 강의실에서 만난 적이 없으니 나는 대학 졸업 후 30년 만에 은사 님의 얼굴을 처음 뵌 것이다. 서울을 떠나 집으로 내려오면서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심의 담당 관계자에게 연락해보니 내 추측이 맞았다. 미리 알아차리고 인사를 드렸으면 참 좋았겠다 싶었다. 


나는 시간의 흐름만큼 현란한 마법사도 없다고 생각한다. 30년 전 말로만 듣던 대단한 은사님을 30년이 지난 후 공모 사업 심의 파트너로 만나 이견을 조율하며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 얼마나 신기한 일인지. 그러나 그분은 문학평론으로 평생 대학 강의를 하신 분이니 나와는 결이 다르다. 새삼 내가 남긴 의견과 그분이 남긴 의견을 떠올려 비교해보니 낯이 뜨거워졌다. 어쩌면 그 자리에서 내 정체를 말씀드리지 못한 것이 결과적으로는 다행스러운 일이기도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