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전자 혁명과 생명윤리
힐러리 퍼트넘 외 지음, 생물학사상연구회 옮김 / 아침이슬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생명과학은 다른 어느 분야의 과학보다도 훨씬 인권, 철학, 도덕, 정의, 사회, 정치의 문제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것은 이 과학이 생소한 분야여서 그런게 아니라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고 그리하여 세계최대의 민간 인권운동단체인 엠네스티(국제사면위원회)는 유전자 혁명의 본질에 좀 더 다가서기 위해 유명한 옥스퍼드 강연을 열었고 이를 생물학사상연구회에서 번역하였다.
생명 윤리 문제에 있어 유전공학의 활발한 연구와 이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주로 인류가 자신의 고통과 유전적 열등함을 개선할 수 있는 자유주의와 인권에 기대어 "유전자 치료와 변형"에 대한 발전을 중심으로 논지를 펼치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인간 복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간배아의 낭비로 인한 희생, 조직 배양에 따르는 비윤리적 측면과 우생학 정서의 확대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다.
자유주의자들은 권리를 제한하는 타당한 이유중 하나를 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역시 나도 모든 권리를 제한하고 싶지는 않지만 자유주의자들의 행진은 멈춰서야 할 거점이 있다. 일부분에 대해서 이런 예를 들고자 한다.
더 좋고 건강한 것에 대한 선택이 자유로워야 한다? ; 취향이 차별받지 않아야한다고 하지만 취향에 대한 선호도가 편향되어 있는 이런 와중에 형성되는 계급의식은 눈앞의 현실로써, 이를 고려할 때, 그 선택권은 소유하지 말아야함이 마땅하다. 선택하기 쉽고 기회도 많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대상에 대해서는 "다양성"이 발생하나, 그 반대인 경우 "다양성"은 자취를 감춘다. 사람들이 볼펜이나 셔츠를 선택하는 경우와 집이나 차를 선택하는 경우를 떠올려 보라. 유전자에 관해서는 빨간색이 좋으냐, 파란색이 좋으냐 수준의 문제가 아니다. 큰 케익이 좋으냐 작은 케익이 좋으냐, 맛없는 케익이 좋으냐 맛있는 케익이 좋으냐처럼 이익과 관련된 것으로 이것은 "차별"을 유발할 뿐 "차이"의 다양화를 유도하는 시스템이 아닌 것이다. 어떤 강연자가 지적한 것처럼 이런 자유의 극대화는 경제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가 고려되지 않은 (무자비한)자유이다.
인간 복제에 대해 찬성하는 이들은 아주 중요한 점을 하나 놓치고 있는데 이에 관해 6장에서 이런 주장을 한다.
"뭔가가 자연적 대상물이 된다는 것은 인위적 대상물과는 구별되는 도덕적 지위를 수반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
이제 자유주의자들과 대립되는 쪽을 비판해볼 때, 아주 신중하고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가 하나 있다. 유전자 치료나 변형에 대해 우려하는 사람들은 지금보다 더 먼 미래는 염두에 두지만, 당장에 인류가 처한 고통에 대해서는 그 관심도가 엷다는 점이다. 치유 불가능한 유전병인 EB질환을 앓던 아이를 잃은 부모가 다음 아이의 출산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혹은 하지 말아야 하는가. 이 외에도 다른 고통이 심한 유전적 질환을 야기할 DNA를 인공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 좀 더 깊고 넓게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런 치료와 조작은 물론 인류를 포함한 생태계의 "미래"에 대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면 "현재"의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식으로 어느 정도까지 접근해야 하는가.
각각의 분야에서 그리고 각각의 입장에서 의견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들과 대중들은 점점 복잡해져가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대한 접근을 시도함에 있어, 이제는 한 가지 이론이나 주장만으로 해결법을 정리하려고 해서는 안되며, 새로운 이념이나 유연한 사고로 대처해야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여러 의견을 분석하고 취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그만큼이나 그것들을 소화하려는 열린 마음과 자세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바, 현대의 가장 중요한 논란거리인 생명과학에 대하여 여러 방면에서 고찰해 본 이 책은 누구나 한번씩은 정독해봄직한 양서이다. 두께가 얇은 편에 속하는 이 책은 겉보기와 달리 매우 가치있는 주장과 논쟁을 담고 있어 그 내용의 무게는 몇 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