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4
알랭 로브그리예 지음, 박이문·박희원 옮김 / 민음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학생들이 진지하게 쓴글을 접할수 있는 기회는 같은 학급 친구간에도 하늘에 별따기.
이러는 와중 다른 친구의 글을 읽을 기회가 생겼다. 이 때 받은 충격으로 생전 글쓰기에 대한 애정은
경외로 바뀌면서 저 너머 기억의 다락방으로 쳐박혀 평생 먼지만 뒤집어 쓸 상황으로 돌변. ㅠ.ㅠ
그 친구의 글은 너무 독창적이고 아름다왔던 것이다.
그리고 내 글들은 너무 건조하여 어떠한 감성도 묻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지금까지 내 글에 대한 교사들의 칭찬은 구라였음을 뼈저리게 느끼며 스며드는 배신감.
이후 10대를 지나 20대에는 문학이 도저히 읽히지 않는다. 당연히 쓰는것도...
문학은 너무 어수선하다? 사람에 대해 여전히 할 얘기들이 그리 많단 말인가.
하늘아래 더이상 새로운게 있겠느냐.
이제서야 스스로 그 이유를 밝혀냈는데, 난 너무 건조해졌던 것이다.
그런 내가 다시 찾아 읽기 시작한 문학의 장르는 "앙티 로망"
(뭐 그렇다고 이 책외에 다른 앙티 로망은 읽은게 없다.)
속물적 근성으로 피터 정을 동경하면서 그가 좋아한다는 작품을 그의 소개를 읽고 구입해버린 것이다.
이 작품과 작가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는 책 자체에 소개되어 있는 역자 민희식 교수의 해석이 전부이다.
책의 말미로 가면서 느끼는 새로움은 오랜만에 느껴보는 전율이다.
문학을 읽으면서 그렇게나 지겨워하던 작가와 인물의 너저분한 주절거림은 철저히 배재되고
오로지 행위와 시간과 대화만이 사건에 대한 객관적 상황을 보여준다.
이것이야말로 오랫동안 내가 찾아 헤매던 읽고 싶었던 글이 아니던가.
내 건조함과 무척이나 닮아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내 글에 대한 희망을 준다.
장르 "앙티 로망"이 가리키는대로 이것은 문학이 아니라
형사들이 쓰는 보고서에 그칠수도 있지만, 거기에서 뭔가를 찾아내는 것은 천만개나 되는 독자 각각의 개성이다.
혹은 찾아내지 않아도 된다.
고루한 인간 정서를 표현한 흔한 수사에 질린 독자들은 한번쯤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