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아 - 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제임스 러브록 지음, 홍욱희 옮김 / 갈라파고스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제임스 러브록이 보는 생명체의 정의는,
<개방적 또는 연속성의 시스템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취한 자유에너지와 물질을 사용하고,
더불어 이의 분해산물을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자신의 내부 엔트로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구성원>이다.
가이아 이론에 대한 이 전제에 이의를 제기하지 못한다면 그 이론을 반박할만한 근거가 별로 없을 듯하다.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학계에서는 가이아를 놓고 "생명체"라고 칭하기 자존심 상하니까 같은 말임에도 "유기체"라는 표현을 쓰는 것으로 보인다.

가이아가 생명체라는 주장에 대한 비판은, 로봇에 비유한 것(이는 말하나마나 아마 현재 시점에서는 비판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고)과
"1.생식 기능이 없고 2.진화능력이 없다."는 것인데,
가이아의 개체수가 1개뿐이 없는 지금 상황에서 생식기능을 운운하기엔 통계학면에서 그 비판을 수긍하기 어렵고,
진화능력이 없다는 것에 대해선 그 내용을 내가 모르는 상태에서 그 반론이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며 그것이 학계에서 제대로 인정을 제대로 받았는지 모르겠다.
또 하나, 목적론적이다라는 주장은 단지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비판이 아닐까 싶다. "이것 저것 살펴보니 한쪽 방향으로 흐르는데 그게 목적인 듯 보인다."라고 말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임스 러브록은 서론에서,
<이 책을 쓴 내 일차적인 목표는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지적 만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가이아 가설은 자연 속을 산보하거나 또는 단순히 자연 속에 서서 그것을 들여다보면서 지구에 대하여 그리고 지구의 생물들에 대하여 감탄을 발하는 그런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또 이 가설은 지구에서 인간 존재의 의의에 대하여 생각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라고 썼다.
그럼에도 그의 거시적인 이 이론은 에덴 동산에 쫓겨난 사람이란 존재가 이 지구에서조차 주인이 아니라고 하는 주장에 대해  오만한 사람들의 신경을 거슬리게 하기도 한다.(웃음)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에 대하여 (결과가 아닌)"원인"을 비판한 것이나, 원자력 사용에 대한 러브록의 지지가 그러하다.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가 가는 부분은,
1. 생물들과 그 주위 물질적 환경과의 견고한 관련성
2. 자연적으로 존재불가능한 분자들의 규칙적인 분포, 일상적 분자들의 존재 불가능한 분포
이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어떤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한 형성되거나 지속되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힘이란 것이 한 두 가지 정도의 물질에 의한 것이라고 보기엔 지구의 여러가지 신기한 "이상 상태"가 너무 광범위하고 정교하게 얽혀 있다.

이 책과 이론의 현재 위치가 어떻든, 새로운 시각과 창의적인 생각과 신비감이 오만한 사람 몇을 제외한 많은 사람들의 머리와 마음을 즐겁게 해준다는 것은 확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