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웅의 AI 강의 2025 - 인공지능의 출현부터 일상으로의 침투까지 우리와 미래를 함께할 새로운 지능의 모든 것
박태웅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런데 인공지능은 이렇게 구하지 않습니다. 몬테카를로 알고리듬은 정사각형 속에 무작위로 발생시킨 점을 씁니다. 수십만 개, 수백만 개를 쏜 다음, 전체 점의 숫자에서 원에 들어간 숫자의 비율을구합니다. - P76

그런데 여기서 새로운 문제가 생깁니다. 인공지능이 맞히기는 기가 막히게 잘 맞히는데, 왜 잘 맞히는지를 인간이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설명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지요.

설명을 하려면 1,000만개, 1억 개의 매개변수를 다 열고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왜 이 매개변수에는 0.0000023점을 주고, 저 매개변수에는 0.00000001점을 줬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인간의 자연 수명으로는 죽을 때까지 1억 개의 매개변수를 열기도 바쁘기 때문입니다. - P80

얀 르쿤은 "거대언어모델은 인간 수준의 인공지능으로 향하는 고속도로에서 옆길로 새버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지점을 특이점 Singularity이라고 하는데, 거대언어모델로는 절대로 가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