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하면, 도는 천지자연이 만물을 낳고 질서를 세우며 조화를・이루는 원리로서 덕의 기초가 되며, 덕은 그러한 도의 원리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얻게 되는 품성의 상태를 말한다. 즉, 도는 시공을 초월한 자연의기본 원리인 보편 원리에 해당하며, 덕은 시공에 대처한 인간 행위에 나타난도의 구현, 또는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실제 행동을 가리킨다. 이에 우리는 ‘도덕‘을 삶의 원리를 실천하는 행동의 내면적 규범으로 정의할 수있을 것이다. 우리말 ‘도덕‘은 단순히 ‘관습의 범위에 국한되지 않고 절대적이자 보편적인 원리에 따른 행동의 내면적 규범을 구체화한 것이다. - P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