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본질적으로 홀로일 수밖에 없는 존재다. 이 세상에 올 때도 홀로 왔고 살 만큼 살다가 떠날 때도 홀로 간다. 가까운 사람끼리 함께 어울려 살면서도 생각은 저마다 다르다. 사람의 얼굴이 각기 다르듯 삶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업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 같은 독신 수행자는 주어진 여건 자체가 홀로이기를 원한다. 한곳에 모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면서도 저마다 은자처럼 살아간다. 서로 의지해 살면서도 거기에 매이거나 얽혀들려고 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독립과 자유를 원한다. 묶여 있지 않는 들짐승이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숲 속을 다니듯, 독립과 자유를 찾아 혼자서 간다.

  불교의 초기 경전인 <<숫타니파타>>에 이런 구절이 있다.

  '만일 그대가 지혜롭고 성실하고 예절 바르고 현명한 동반자를 만났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내리니 기쁜 마음으로 그와 함께 가라. 그러나 그와 같은 동반자를 만나지 못했다면 마치 왕이 정복했던 나라를 버리고 가듯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어차피 저마다 자기식대로 사는 게 인생이다. 똑같이 살라는 법은 없다.

  홀로 사는 사람들은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살려고 한다. 홀로 있을 때 전체인 자기의 있음이고, 누구와 함께 있을 때 그는 부분적인 자기이다.

  우리 시대의 영적인 스승 크리슈나무르티도 일찍이 말했다.

  '홀로'라는 낱말 자체는 물들지 않고, 순진무구하고 자유롭고 전체적이고 부서지지 않는 것을 뜻한다. 당신이 홀로일 때 비로소 세상에 살면서도 늘 아웃사이더로 있으리라. 홀로 있을 때 완벽한 생동과 협동이 존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본래 전체적이기 때문이다.

  무리로부터 떨어져 나와 단지 혼자 지낸다고 해서 과연 '홀로 있음'인가. 홀로 있을수록 함께 있다는 가르침은 홀로 있음의 진정한 의미를 가리킨다. 즉, 개체의 사회성을 말한다.

  모든 것은 서로 이어져 있다. 바다 위에 외롭게 떠 있는 섬도 뿌리는 대지에 이어져 있듯.

  고독과 고립은 전혀 다르다. 고독은 옆구리께로 스쳐 지나가는 시장기 같은 것. 그리고 고립은 수인처럼 갇혀 있는 상태다. 고독은 때론 사람을 맑고 투명하게 하지만, 고립은 그 출구가 없는 단절이다.

  다코타 족 인디언 오히예사는 이렇게 말했다.

  "진리는 홀로 있을 때 우리와 더 가까이 있다. 홀로 있음 속에서 보이지 않는 절대 존재와 대화하는 일이 인디언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예배이다. 자주 자연 속에 들어가 혼자 지내 본 사람이라면 홀로 있음 속에는 나날이 커져가는 기쁨이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것은 삶의 본질과 맞닿는 즐거움이다."

  홀로 사는 사람은 고독할 수는 있어도 고립되어서는 안 된다. 고독에는 관계가 따르지만, 고립에는 관계가 따르지 않는다. 모든 살아 있는 존재는 관계 속에서 거듭거듭 형성되어간다.

  홀로 있을수록 함께 있으려면 먼저 '자기 관리'가 철저해야 한다. 자기 관리를 소홀히 하면 그 누구를 물을 것 없이 그 인생은 추해지게 마련이다.

  개인이든 집단이든 삶에는 즐거움이 따라야 한다. 즐거움이 없으면 그곳에는 삶이 정착되지 않는다. 즐거움은 밖에서 누가 갖다 주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인생관을 지니고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 일상적인 사소한 일을 거치면서 고마움과 기쁨을 누릴 줄 알아야 한다. 부분적인 자기가 아니라 전체적인 자기일 때, 순간순간 생기와 탄력과 삶의 건강함이 배어나온다. 여기 비로소 홀로 사는 즐거움이 움튼다.

  '누가 홀로 가는가?'

  '태양, 태양이 홀로 간다.'

  인도의 가장 오래된 베다 경전에 나오는 문답이다.

  내가 소싯적부터 즐겨 외는 청마 선생의 <심산深山>이란 시가 있다.

 

  심심 산골에는

  산울림 영감이

  바위에 앉아

  나같이 이나 잡고

  홀로 살더라

 

::: 法頂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누아 2005-08-01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 전 제 서재에 올렸던 구상 시인의 시가 생각나네요.
========
홀로와 더불어
- 구상

나는 홀로다.
너와는 넘지 못할 담벽이 있고
너와는 건너지 못할 강이 있고
너와는 헤아릴 바 없는 거리가 있다.

나는 더불어다.
나의 옷에 너희의 일손이 담겨 있고
나의 먹이에 너희의 땀이 배어 있고
나의 거처에 너희의 정성이 스며 있다.

이렇듯 나는 홀로서
또한 더불어서 산다.

그래서 우리는 저마다의 삶에
그 평형과 조화를 이뤄야 한다.


 

언제나 적적한

마당을 쓴다

 

드문드문 빗방울에

지워지다 흐리게 남아있는

산새들의 야윈 발자국

 

음울한

바위 틈에 찾아올 길 없는

집 한 채 지어놓고

 

때때로

이끼 낀 물소리 베개하고

바람소리 적적한

귀를 씻는다

 

 

::: 최동호, 여름 寒山詩

 

 

밤새 비가 흩뿌렸나보다.

산색이 짙어졌다.

구름은 산등성이를 타고 이 아침을 달아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라보니 산에는 빛이 있고
귀기울이면 소리 없이 흐르는 물
봄은 가도 꽃은 남고
사람이 와도 새는 놀라지 않더라

:: 야보


법정 스님의 <말과 침묵>이란 책에 나온 글이다.
짧은 글이지만 음미하고 나면 내 가슴에 풍경이 그려진다.
또 다른 글 한편 역시 마찬가지다.
전에 어디서 읽어 본 적이 있었던...
까닭모를 미소가 번지어지는 시.

지팡이 끌고 이슥한 길을 따라
홀로 배회하며 봄을 즐긴다
돌아올 때 꽃향기 옷깃에 스며
나비가 너울너울 사람을 따라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유일하게 기르는 생명체인 대엽풍란이 어제 꽃망울을 틔웠다.지난 일년동안 때맞춰 물을 주고 행여 부족할세라 빛을 보게 했던 내 수고가 조촐한 환희로 다가오는 순간이었다.
전날까지 좀처럼 열릴 기미가 보이지 않던 꽃망울이 밤 사이 또롱...하고 터져 어제 아침 날 놀래켜 준 것이었다.

들길이나 숲길을 걷다가 이름모를 야생초나 야생화와 눈이 마주치면 즐겁기 그지없고 애정어린 시선으로 한번 더 뒤돌아 눈길을 주거나 걸음을 멈춰서 찬찬히 들여다보지만 따로 화분을 가까이 두고 키우지 않는 나로서는 난초를 키우는 일이 꽤 이례적인 일이다.모든 생명체는 자연 그대로의 상태가 가장 아름다우며 내 눈을 즐겁게 하기 위해 그 생명체를 비좁은 화분에 담아 답답하게 키워 나 혼자 그 복을 독차지하는 것 또한 옹졸하고 치사한 일이라 여겨왔기 때문이다.

이 대엽풍란은 작년 이맘때 언니가 선물 받은 것이다.언니는 다른 일년생 화초처럼 이 또한 꽃이 지고 몇번 물을 챙겨주지 않으면 시들어질 것이라 짐작하여 이 화분을 쓰레기통 옆에 내버려두었다.어차피 죽을 거, 아예 물을 주지 말자는 심산으로 '안락사' 시킨 것이었다.
양 옆으로 뻗은 두개의 줄기에 대롱대롱 맺힌 꽃잎이 곱기도 곱거니와 나는 목 한번 축이지 않게 하고선 이 어린 것을 그냥 죽게 내버려 둘 수만은 없어 눈에 잘 띄는 곳에 놓아두었다.고맙게도 화분을 구입한 곳에서 '물 7일에 한번'이라고 써놓은 조그마한 푯말을 화분 머리에 꽂아 주었고 그 푯말 뒤에는 대엽풍란이라고 쓰여 놓았다. '아,네 이름이 대엽풍란이구나.' 이름을 알고 나니 금새 녀석과 친해진 것만 같았다.
일주일이면 시들어버리는 여느 꽃들과는 달리 이 풍란은 한달이 지나도 그 꽃잎이 누래지거나 오그라 들지 않았다.다만 그 은은한 연두빛 꽃잎은 항시 수줍게 아래를 향해 있었다. 정확히 기억할 수는 없지만 초여름에 접어들어 날이 더워져서야 이 꽃들은 제 몫을 다 하고 소리없이 고개를 떨구었던 것 같다.
간혹 바빠서 이 녀석들에게 신경을 쓰지 못할때는 7일을 넘기고 물을 준적도 있었다.목이 탔음에도 한마디 불평도 하지 못하고 잠자코 있었을 녀석들이 측은해 그때마다 나는 평소보다 더 넉넉히 물을 적셔주기도 했다.내 이런 정성과 보살핌으로 녀석들은 날로 푸르게 자랐으며 어느날엔가는 새 잎이 뾰족...돋기도 했다.
그러던 작년 여름,무덥던 어느 날 나는 오랫동안 집을 비운적이 있었다.동생에게 물론 당부하고 갔지만 게으른 동생은 내 부탁을 하얗게 잊고서는 몇날 몇일 물을 주지 않았다.연일 30도를 훌쩍 넘는 무더위 속에 녀석들은 외마디 비명조차 지르지 못하고 서서히 죽어가고 있었을 것이다.계속되는 폭염속에서 사람도 시름시름 지쳐가는데 이 여린 생명들이야 오죽 했겠는가.곁에서 지켜보지는 못했지만 이때는 분명 사나흘에 한번은 흠뻑 물을 줬어야 했을 것이다.
다행히 뒤늦게 언니가 물을 주어 살릴 수는 있었다.그러나 한참후에 집에 돌아가서 이 녀석들을 대하니 그 사이에 잎 하나가 심하게 꺾여 있었다.건강히 잘 자라던 녀석이었는데... 갑작스레 신체적 장애를 입은 것 마냥 볼 때마다 마음이 좋지 않았다.

이때 나는 "무소유"라는 글이 떠올랐다.
법정 스님께서는 무소유라는 글에서 집착과 그에 따른 괴로움을 상기켜 주셨다.물론 소유에 의한 집착을 염두하지 않고 이 난초를 키운것은 아니었다.다만 야생에서의 풀과 꽃처럼 흠뻑 비를 맞고 넉넉하게 빛을 받을 수 없는 녀석의 처지가 딱해서 보살폈던 것이었다.내 남다른 보살핌과 관심에 녀석들은 '고맙다'라는 말 한마디 해 주지 않았지만 적적한 내 일상의 유일한 말 벗이 되어주곤 했기에(물론 언제나 내 일방적인 대화로 끝이 나긴 했지만) 나는 정을 준 녀석들과의 이별,그리고 그에 따른 상실감이 염려스러웠다.
애별리고愛別離苦

꽃을 피우고 전에 없이 환해 보이는 녀석들을 보고 오늘 아침,이 다음에 기회를 보아 적당한 그늘과 적당한 햇빛이 자리하는 산기슭에 이 녀석들을 옮겨 주자고 다짐하고 나니 마음이 한결 평온해졌다.


"푸른 꿈을 꾸고 너른 들로 훨훨 날으렴,대엽풍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에는

혼자서는 외롭다, 둘이라야 한다, 혹은

둘 이상이라야 한다.

 

물은 물끼리 흐르고

꽃은 꽃끼리 피어나고

하늘에 구름은 구름끼리 흐르는데

 

자꾸만 부푸는 피를 안고

혼자서 어떻게 사나, 이 찬란한 봄날

가슴이 터져서 어떻게 사나.

 

그대는 물 건너

아득한 섬으로만 떠 있는데......

 

::: 이수익, 봄날에 1

 

햇빛이 너무 맑아 눈물납니다.

살아 있구나 느끼니 눈물납니다.

기러기떼 열지어 북으로 가고

길섶에 풀들도 돌아오는데

당신은 가고 그리움만 남아서가 아닙니다.

이렇게 살아 있구나 생각하니 눈물납니다.

 

::: 도종환, 다시 오는 봄

 

오늘도 나는 당신 속에 저뭅니다. 당신을 찾아나선

이 화창한 긴긴 봄날 긴긴 해 다 질 때까지 당신을 찾

아갑니다. 당신을 찾아가는 길이 멀고 험할지라도 물

막히면 물 건너고 산 막히면 산 넘 듯, 당신 늘 꽃 펴

있다는 그리움 하나로 이겨갑니다. 가다가 가다가 해

저물면 산 하나 되어 산속에 깃들었다가 해 떠오면 힘

내어 갑니다. 당신 만나 환희 꽃 필 저기 저 남산은

꽃 없는 쓸쓸한 산 아니라 해맑은 해 어디나 돋는 나

라, 눈 주면 늘 거기 꽃 피는 당신 찾아 오늘도 지친

이 몸 당신 찾아가다가 저녁 연기 오르는 마을 저문

산속에 산 되어 깃듭니다.

 

::: 김용택, 꽃산 찾아가는 길

 

3월의 마지막. 가슴에 품은 간절함이 봄빛처럼 다가와 묵은 내 어깨를 감싸는 그날이 오늘일까. 아니면 내일일까. 내 못남, 내 고독, 내 수줍음도 다 터뜨려버릴, 모든 것이 멈춰도 홀로 되어도 두렵지 않을 그런 봄날은 이미 가버렸을까.

 

::: 박상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