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를 보면 모질게 씁쓸하다.

문벌귀족에서 무신으로 무신에서 권문세족으로 그다음 개혁정치를 하려했던 공민왕을 밀어주던 신진사대부로...

어지러운 정치세력의 변화를 겪고,  거란, 여진, 몽골과의 전쟁도 겪었다.

 

고려 역사서속의 고려시대 역사의식을 보면 처음 초기엔 고구려계승의식이 보이고, 중기에는 신라, 후기에는 고구려,그리고 그들나름의 역사의식이 결국 고려말에는 성리학적인 역사의식이 보인다.

이걸 역동적이라고 표현해야하나, 격동적이라고 표현해야하나?

 

역사를 꽤나 좋아하는 나도 고려사에는 그다지 관심도 적고, 아는 것도 별로 없다.

우선 조선시대는 유물,사료를 통해 그 역사를 쉽게 보며 이해할수있지만 고려시대는 주요 유물이나 유적이 북한(개경)에

모여있는지라 보고싶다는건 희망사항일뿐이며....

고려사 또한 고려시대때 편찬된 역사서가 아닌 조선시대에 편찬되어진 사료로 그다지 합리적이나 객관적으로 입장반영이

되었으리라는 생각은 안한다. 역사는 승리한자의 것이라고 하지않는가..

 

사실 보면 고려왕조도 500여년동안 지속되었다.

그동안 역사와 전통의 깊이가 얕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런 고려에게 다가가는 일은 사실 어렵고도 또 어렵다. 

 

역사와 친해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흔하디 흔한 사극도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은 손에 꼽을정도로 없는게 사실..

그러나 요즘 고려시대를 배경으로한 드라마가 있다.

<무신> 과 <신의>

신의는 안봐서 모르겠고, 무신은 가끔 지나가며 보는데 김준이 원래 역사적으로 저런 사람이었다고? 라는 거부감이 들어

이 드라마도 그냥 그렇다..

 

 

<고려사로 고려를 읽다>

이 책은 고려사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하나하나의 사건에 주목해 총 61가지의 주제 아래 에세이로 정리됐다. 조선일보 주말 섹션인 Why에 ‘역사 속의 고려’라는 제목으로 기고한 글과 새롭게 정리해서 모은 절반 정도의 원고가 모아져 완성됐다. 학문적인 깊이보다는 대중들의 눈높이에서 저자가 각각의 글은 저널리스트다운 담백하고 깔끔한 문체로 독자들의 이목을 끌며,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궁금했을 법한 질문을 던져 숨어있던 고려 왕조의 이야기를 끄집어낸다.

고려를 주제로 한 역사교양서를 읽으며 재미있다고 느껴본적은 없지만...

끈임없이 도전은 하는 나....

이 책도 도전..

개방적이다 못해 활기차 보이기도 한 또 다른 고려사를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