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 시대의 철학 - 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 현대의 지성 120
지오반나 보라도리 지음, 손철성.김은주.김준성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하버마스와 데리다라는 현대 철학의 두 거장이 테러시대를 진단하는 책...

현 시대를 테러 시대라고 규정하는 것은 과잉된 것이기도 하다.  정보화 시대 혹은 지식기반사회라는 명명이 친숙하게 들어오던 것이다. 테러 시대라는 명명은 이 시대에 대한 고유명사라기 보다는 이 시대의 한 측면을 기술하기 위한 하나의 수식어라고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테러라는 개념 자체가 하나의 논쟁점이고 어떻든 다른 시대와 다른 폭력적 행위 또는 상황으로서의 테러가 이 시대에 벌어지고 있다는 의미로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일반적 의미에서 테러 행위는 어느 시대에나 있어왔는데 굳이 왜 지금 이 시대를 테러시대라고 명명하고 분석하고, 철학석 해석을 시도하게 되는가.

이 책은 9.11을 계기로 기획되고 쓰여졌다. 데리다는 이 '9.11'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수많은 테러가 있어왔는데, 오직 '9.11'만 '9.11'이라는 날짜로서 명명되었는가. 촘스키의 [해적과제왕]이라는 책을 보면 미국이 자행한 수많은 테러행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인명을 살상하거나 나라를 전복시키는 수 많은 공작과 테러행위들. 그런데, 9.11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어떤 사건에 대해서만, 그 사건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목표를 대상으로 하는 테러행위가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9.11'만 '9.11'이다.

미국이라는 이 초국가적이고 초법적인 나라를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저항과 테러가 있어왔는데, 이제 9.11이라 이름하고, 이 시대를 테러 시대라 하게 되었는가. 테러 행위 자체가 새로운 것은 역시 아니었다. 9.11을 9.11로 만들 수 있는 이 시대가 다른 시대와 다른 것이다. 미국인에게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에게 이를 전세계적, 세계사적 사건으로 만들 수 있는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 자본질서, 미디어 질서가 어느 날 일어난 어느 사건을 9.11로 만든 것이다.

두 사람 모두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에 비판적이다. 지역성, 민족성, 국가성을 기반으로 하는 이전의 테러 유형과 성격이 다른 무국적의 이 국제 테러리즘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아이러니다. 자본은 초국가적인데, 이 국제 테러리즘은 그것과 양립할 수 없다니. 특히나 데리다가 그렇게 말하고 있다. 이유는 희망이 없기 때문이란다. 인간을 위한 어떠한 희망적인 프로젝트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란다.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가 마땅치 않지만, 명분상으로나마 선언적으로나마 희망을 얘기하고 있는데 반해 국제 테러리즘은 어떠한 희망적 메시지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미국이라는 존재는 얻어맞아도 싼 존재지만, 그 때리는 존재에게 희망을 걸 수 없는 상황. 하버마스와 데리다는 유럽에 희망을 걸고 있다. 하버마스가 쓰고 데리다가 서명한 '우리의 혁신 : 전쟁 이후, 유럽의 재탄생'에서.  미완의 계몽은 계속되어야 한다. 계몽은 진행중이다. 계몽의 출현은 몇 백 년 전의 일이지만, 아직까지 우리는 계몽된 시대가 아니라 계몽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 계몽을 시작한 유럽이 근대의 정신을 추구한다면 인류에게 희망이 있다고.

우리나라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소리 2005-11-11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신 : 하버마스, 데리다 익히 들어온 인물이었다.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이들이 9.11에 대해서 어떻게 말했을지 궁금했었다. 그리고 미국에서 나온 책이라니. 어떻게 말했길래 미국에서 기획되고 출판될 수 있었을까. 역시나 두 사람 모두 국제 테러리즘에 비판적으로 말하고 있었고, 그리고 데리다 마저 계몽에 아주 긍정적인 사람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포스트모더니스트 중에서도 아주 파괴적인 사람으로 데리다를 알고 있었는데, 음. 역시 미국에서 저자가 밝힌 대로 호의적으로 출판될 만한 책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에 비판적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데리다 마저 그래도 거기에 희망을 걸 수 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촘스키의 [해적과제왕]이라는 책의 효과와 비슷한 것이라고 봐야 할 수도. 미국이 저지를 각종 만행, 그들이 전쟁을 벌이고자 하는 '테러'를 아주 모범적(?)으로 자행해온 미국에 대해 묘사하고 있는데, 그런 책의 효과란 무엇인가. 그 책이 반미의식을 고취할 수 있을까? 그런 무지막지한 나라하고는 상종을 말자? 그런 효과만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다. 헉, 미국이 그런 조폭, 마피아, 살인마 두목이었단 말여? 그렇다면 얻어맞기 전에 찍소리말고 시다바리를 해야겠군.. 이런 반응이 지배적일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라크 파병 논란이 한창일 때 티비토론에서 어떤 뭔 경제전문가였던 것 같은데, 미국이 지배하는 이 세계질서에 편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것이다. 미국에 밉보여서 좋을 거 하나없다. 이런 식의 발언..
하버마스와 데리다의 이 책에서의 발언. 9.11에 대한 입장이란 것이 바로 독일과 프랑스가 9.11 이후 미국의 아프카니스탄, 이라크 침략 행위에 대해 보여주었던 바로 그것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는지. 공교롭게도 바로 독일인과 프랑스인이군요. 이 두나라가 파병은 하지 않았지만, 미국이 침략하지 못하도록 어떤 일을 했던가. 그저 미국이 하는 것이 최선이 아닌 것 같지만, 그렇다고 최악일까. 맘엔 안들지만, 그렇다고 뭐 까지꺼 냅두지 뭐.. 거의 이런 반응 아니었던가. 최근 프랑스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요 사태. 흠.. 이슬람을 왕따 시키려는 국제 음모로부터 프랑스도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