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오후 네 시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멜리 노통을 <적의 화장법> 과 함께 두번째로 만나보는 시간이었다.

그녀는 혼자 있을때 무엇을 할까?  아마 쉬고 있는 자신에게 앵무새처럼 끊임없이 말을 걸고, 풍부한 경험과 추억속으로 자신을 데리고 다닐 것 같다.

그녀를 만난 <오후 네시>가 바로 그런 시간이었다.

60년 전부터 함께 살아온, 여섯 살짜리 눈빛을 한 아내 쥘리에트와 나 에밀은 오랜 시간동안 꿈꾸어 오던 호적하고 평화로운 곳으로 드디어 이사를 오게된다. 43년간 도시에서 평화를 침해 당해온 우리가 여생을 보내기 위해 꿈꿔오던 '우리 집'을 갖게 된 것 이다. 그 평화 속에 무뚝뚝하고 말없는 이웃 베르나르댕이 매일 같은 시각에 찾아오고 우리는 도무지 영문을 모르겠다.그를 내어쫒기 위해 지루한 강의도 해보고, 무례하게도 굴어보고, 문을 열어주지 않기도 하지만 그는 불쾌하다는 표정만 지을뿐 지치지도 않고 같은 방문을 되풀이 한다.

아, 이쯤 되었을때 이야기가 갑갑해지고 반복되는 일상을 너무 길게 묘사하는 방식에 마음이 언짢아 지기도 한다. 우유부단하게 끌려 다니는 모습이라니...

하지만 인내를 해야한다. 드디어 이야기가 펼쳐지는 동선이 베르나르댕씨의 집으로 몇 발자국 길어질 테니... 그리고 점차 에밀의 몸에 털이나고 이빨이 길어지고 머리에 뿔이나며 악마의 모습으로 변해갈테니.

죽음을 기다리는 늙고 멍청한 뚱보. 고통과 권태의 덩어리!

반부에서 에밀이 베르나르뎅씨의 인생을 무의미한 것으로 단정하는 장면은 안타까웠다. 상대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건간에 자신의 관점으로 상대의 삶을 판단하고 결론을 내어줄 수 있는 것일까? 비록 그 삶이 죽음의 연장으로 비춰진다 한들 말이다.

1년전의 완전 범죄를 회상하며, 노곤하게 이야기를 풀어 나간 에밀은 마지막에 악마의 웃음을 웃으며 말한다.

나는 내가 어떤 인간인지 더 이상 알지 못한다고... 그러면서 묻는다.

너는 네가 어떤 인간인지 알고 있느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의 화장법
아멜리 노통브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비행기 공항, 이륙 시간이 연기 된 상황, 액자식 구성의 이야기가 두명의 대화를 통해서 풀어지고, 그 두사람의 대화가 사실은 나와 싸우는 내 양심의 소리였다는 설정이 다소 신선하게 느껴졌다.

10년이 지난 사건을 놓아주지 않는 양심. 나를 감시하고 끊임없이 말을 걸어오는 내 속의 또 다른 나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던것 같다. 

아멜리 노통은 <적의 화장법>을 통해서 처음 만났다. 하지만 책을 구입하기전에 리뷰를 하도 꼼꼼하게 읽어 본 탓인지 그녀가 낮설지가 않다.

아멜리 노통... 자아에 대해 깊은 관심을 품고, 성숙한 언어로 자신에게 말을 거는 속깊은 아가씨라고 그녀를 정리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선
원성 글, 사진 / 이레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죽기 전에 꼭 부처님의 고향을 딛고 싶으셨다던 어머니 스님과 원성 스님의 인도 여행기 이야기다. 모자가 함께 출가하게된 사연은 원성 스님의 또 다른 저서인 <풍경>, <거울>에서 엿볼 수 있는데 그 사연을 모르고도 여기에서 충분의 두 사람의 정과 애뜻한 거리가 함께 느껴진다.

어머니 스님과 원성 스님은 인도를 평생 잊지 않기 위해 얼마나 소중히 눈에 담았을까? 하나 하나 가슴속에 철필로 새겼을 풍경들이  필름한 컷 한 컷에 담겨서 인도가 그림처럼 소박하게 눈 에 박히는 책이다.

또한 여행의 구구절절한 여정을 쓰지 않았는데도,  원성스님의 고운 시선이 내려 앉았던 곳마다 순수한 인도의 세계가 시작되고 무소유의 도가 펼쳐 지느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그림에서 인생을 배웠다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한젬마가 부록에 제안한 데로 나는 <그림 읽어주는...>, <나는 그림에서 인생을 배웠다>를 자주 꺼내 읽는다. 그림과 마주하는 시간은 신선하다 못해, 어떨때는 나 몰래 새로 책장속으로 삽입된것은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질리지 않는다.

1권에 미처 다 실지 못한 그림들을 정성스럽게 골라 담아 또 다른 이야기가 되었다. 거기에는 나라 안팎의 여러 화가들에 대한 이야기도 친밀하게 풀어놓았다.

<나는 그림에서...>는 더 많은 그림들이 들어있다. 김강용 화백의 'realty + image 0766', 한젬마의 '관계'등 조각품은 신선한 충격을 주고 오래도록 시선을 붙드는 작품들이었다. 색을 입은 물감뿐 아니라 주변의 모든 사물들이 글자가 아닌체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방법에 또 한번 사로 잡히게 되었다.

아, 봄이다. 그녀의 여덟번째 제안처럼 카메라메고 봄속으로 뛰어들어 새로운 이야기를 담아오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 읽어주는 여자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아무리 들여다 봐도 보이지 않는 그림들을 어떻게 하면 볼 수 있을까?  뭔가 무슨 말을 하는것 같은데 들리지 않는 저 그림들을 어떻게 하면...

중학교 다닐때 청담동 갤러리 마을에 처음 갔었더랬다.  쪼그마한 중학생 2명이 들어와서 작품을 감상 한답시고 꽤나 진지한 표정으로 걸어다녔는데 화가였는지 갤러리 직원이었는지, 친구와 나에게 어른대접,손님대접을 깍듯이 해준 기억이 난다. 그림에 대한 설명을 따로 들을 수 는 없었지만 눈치보지 않고 각 그림당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서 눈싸움을 할 수 있었다.

서너군데 감상을 했었는데 작품은 하나도 기억이 안난다. 많은 자원을 숨긴체 시치미 뚝 떼고 있던 사해바다처럼, 물감 그 뒤에 뭔가 이야기를 담고 있을것 같은 막연한 생각이 든 것은 어쩌면 그때 부터 였나보다.

실물과 똑같은 정물화만 잘 그렸다는 생각이 들기 쉬운데 <그림 읽어주는 여자> 한젬마는 그림에 대해 단순히 화가로서 읽어주는 것이 아니었다.그림과 함께 여물어가는 자신의 이야기를 읽어주면서 그림 읽는 법을 가르쳐 주고 있다. 또 수록된 이야기들은 여러 화가들의 그림과 더불어 섬세하게 마음을 어루만져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