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모르텔 - 불멸의 꿈은 인간이나 신이나...

'필멸의 인간은 불멸의 꿈을 꾼다(변신이야기의 부제, 김선자 씀)'

불멸의 꿈은 인간만 아니라 신도 꾼다. 다만 신들에게 필멸의 확률이 매우 낮을 뿐이다. 호러스는 7번째이자 마지막 부활을  시도한다. 왕따 당한 신처럼 그는 외롭고 질긴 부활의 꿈을 위해 지상으로 내려온다. 그에게 있어 성모 마리아가 신의 아들 예수를 잉태한 것처럼 질은 신을 잉태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야기처럼 인간은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가까이에 있다. 아마도......

2095년 가까운 미래, 이집트, 불멸의 신들,.......별로 색 다른 점은 발견할 수 없다. 하지만 좀처럼 사건의 전개과정과 이유에 대해서 알 수 없다. 단지 '임모르텔(Immortel)'에 일관되게 접근해 갈 뿐이다. 영화의 후반부에서 지겹다는 느낌이 들었던 것도 이런 단조로운 전개 때문일지도 모른다. 원작이었던 만화와 마찬가지로 영화에서도 긴 얘기는 없다. 화면 가득한 실사와 CG의 장면 배치만이 있을 뿐이다. 만화에서는 끝이 보이지 않는다. 불멸의 신들과 마찬가지로 끝임없은 윤회의 장면만이 연상된다. 소생이나 환생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유전자를 보존함으로써 끝임없이 인간은 불멸한 존재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부서진 다리를 쇠덩이로 대신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신이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의 아들을 통해 다시 세상사람들 앞에 나설 수 있었던 것은 그 조차 신이길 바랬던 것은 아닐까? 

이 만화의 원작자인 엥키 빌랄 감독이 제9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우먼트랩(원제:Immortal)'이라는 제목으로 영화를 소개되었다. 그의 눈빛에서 하고 싶은 것은 자신이 직접해야만 하는 작가라는게 느껴진다. 그의 깊이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냥 가볍게 영화 한 편 보아선 알 수 없다. 만화도 읽고 영화를 보았지만 여전히 안개 속에 갇혀 있다. 다소 복합적인 세계관이 동서양으로 이분화된 세계관으로는 쉽게 이해되지 않은 듯 하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굳이 따지자면 영화감독으로로서의 자질보다 만화가로서의 작가적 기질이 더 나은 편이다.  어차피 다작을 하기 보다 고집스러운 작품 세계를 주장하고 있는 듯 하니 그의 행보는 여전히 기대된다.

신답지 않은 인간과 인간이기를 거부한 타락한 존재들의 공존만이 어지러울 뿐이다.

세상이 그렇다는 뜻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