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해변의 카프카 - 다무라 카프카는 이미 어른이었다.

개인적으로 하루키의 글은 장편보다 단편에 더 힘이 느껴진다. '상실의 시대'도 그랬지만 '해변의 카프카'도 정말 힘겹게 읽었다. 한숨에 읽기에는 너무나 벅찼다. 상권을 읽는데 몇 번을 놓았다 들었는지 그나마 하권은 1개월 이내에 끝냈다. 주욱 읽는다는 기분보다 맥이 끊어지는 듯 했다. 하나의 사건을 향해 가면서도 출발점이 다른 인물들의 시점을 전개하다보니 그런 점이 있었던 것 같다.

하루키의 소설이 그러하 듯 성장소설이다. 작가가 순수원형이라고 칭하는 15세의 소년 다무라 카프카의 성장에 얽힌 사건을 향해 열심히 달려가야 하는게 이 소설의 목표였다. 또 한 명, 늦깍이로 성장한 호시노라는 청년도 있다. 한동안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이었던 호시노와 동명이인이다. 솔직히 다무라 보다 호시노라는 청년의 성장이 놀라웁다. 비록 그의 성장은 다소 엉뚱하지만 스스로 느끼고 깨달음의 길에 이르렀다는 점은 다무라 보다 높이 살 만하다. 다무라는 15세에 이미 어른이 되어 버린 듯 하다. 그의 나이를 볼 때 성장가능성이 없진 않지만 그는 호시노 보다 성장가능성이 희박한 인물이 되어버린 듯 하다. 소설을 읽으면서 내내 다무라가 15세의 소년인지 애늙은이인지를 도통 구분할 수 없었다. 그는 어른이고 싶어했다기 보다 (소설의 표현을 빌자면 '터프해지고 싶었다기 보다') 이미 어른 행세를 하고 있었다. 놀랄만한 신체적 성숙도 그의 정신적 성장을 따라가기엔 오히려 벅찼다. 그의 혼란은 육체와 정신의 부조화에서 오는 불완전성에 있었던 것 같다. 주변 환경과 인물의 비밀스러움도 한 몫을 한 듯 하다.

인간의 근원적 고민과 삶의 명제에 대해 얘기했다지만 알 수 없는 얘기와 사건이 난무하다. 전혀 연관성이 없어보이는 사건과 인물이 후반부로 가면서 차츰 정렬되고는 있긴 하지만 궁긍적으로 내가 읽기에 실패했던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었던 것 같다. 900쪽에 가까운 장편을 읽었다는 것만으로 나도 성장한 것일까?

글 말미에 이르면 하루키의 지적능력에 대한 자랑이 끊임없이 나온다. 음악, 문학, 미술 등 각종 문화에 대한 박식함을 자랑이라도 하듯이 등장인물을 통해 언급된다. 지겹도록.... 글 깨나 쓴다는 작가들은 한 번씩 언급하는 '메타포'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아~~그는 하루키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