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징 레인스
예고편만을 보았을 때는 왕짜증을 유발하게 충분할 만큼 보는 이의 심리를 자극하는 크게 기대하지 않은 영화였지만 본 후의 느낌은 의외로 깊숙한 폐부를 콕~ 찌른 꽤 괜찮은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인생은 투쟁의 역사라고 했던가? 제목처럼 인생은 끝없는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그 갈림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루라는 짧은 순간 동안 두 주인공의 끝없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됩니다. 또한 절묘하게 빗나가는 선택으로 인해 끝없는 추락을 하게 됩니다. 헐리우드 영화에 비극이 드문 만큼 이 영화도 궁극에는 해피엔딩으로 끝나게 합니다.
흑과 백, 부와 빈, 늙은이와 젊은이 등 대립된 인간구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도 이 영화의 나름대로의 표현양식인 듯 합니다. 사회에 대한 극한 분노 인하여 가진 것 모두를 잃어버린 도일과 인생의 성공가도에 놓여있는 변호사 개빈은 두 사회계층을 대변하는 인물입니다. 미국의 유머의 단골 등장인물인 변호사라는 직업 처럼 비난받는 인물도 없을 듯 합니다. 그러나 개빈의 변호사 사무실에 온 신입직원 면접자의 얘기처럼 법을 전공한 대부분의 사회 초년생들은 법과 정의을 수호와 실천을 위한 부푼 꿈을 갖고 사회로 첨벙 뛰어들지만 그 물은 보기와 달리 진흙탕이었음을 알게 되는데에는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는 듯 합니다. 늘 처음과 같은 마음으로 일할 수 있다면 그렇다면 세상이 바뀔 수 있을까요?
사회정의는 모종의 암시와 주문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최면을 걸고 있습니다. 그런 최면에 빠진 후에는 헤어나기 힘든 것이죠? 도일이 참가하고 있는 금연학교도 그런 최면으로 부터 벗어나기 위한 것이죠. 개빈이 상류층의 더러운 치부에 허우적 거릴 때, 도일은 사회를 향한 분노에 깊이 빠져 있었던 것 입니다. 사회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동전의 양면이면서 동시에 같은 모습이기도 한 것입니다.
정의를 수호하고 실천하는 것은 의외로 힘든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회란 그런거야 라고 아무런 꺼리낌없이 잊어버릴쯤 그로 인해 누군가가 어디에서 고통 받고 있는 것입니다. 함께 그 고통을 감싸안을 수 있는 인간적인 모습이 아쉬운 때인 듯 합니다.
영화 초반부에 벤츠를 긁어버리고 고급 변호사 사무실에 물세례를 받친 탓인지 고예산을 들여 찍은 스릴러물이긴 하지만 오히려 심리 드라마에 가까운 듯 합니다. 주인공의 사건 전개를 통해 그 짜증이 관중에게 전달될만큼 다소 불쾌한 느낌이 들지만 그것 또한 연출자가 의도한 바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흥행을 넘어서 우리가 뭘 하고 있는지 생각하며 보아야 할 좋은 영화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