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 이우일의 영화이야기
김영하 지음, 이우일 그림 / 마음산책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김영하, 이우일의 영화이야기

뭔가 보고 느낀 점을 적는 것만으로는 '평'이라고 부르기엔 부족한 듯 하다. 감상문 정도가 적당할 듯 하다. 최소한 그 평을 읽고 있는 이들에게 이 영화가 제시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연출, 출연자들에 대한 깊은 성찰을 얘기해 주어야 할 것이다. 가끔, 아니 요즘은 자주 그런 경우를 보게 된다. 평론가들이 얘기하는 관점과 관객(또는 독자)들의 판단이 다른 경우가 있다. 최근에 헐크를 제작한 이안 감독에 대한 미국 평론의 시선을 곱지 않았다. 하지만 극장에서 그에 대한 관객의 평가는 좋았다. 그럴 때면 평론가들의 얘기는 다소 부질없어 보이기도 하고 일반인의 시선을 무시한 지적 허영심의 소산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김영하 라는 인물에 대해 아는 바가 전혀 없었다. 그의 책을 읽고 나서 영화평론가 보다는 소설가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강하면서도 수많은 영화에 대한 글을 적은 인물로 알게 되었을 뿐이다. 실제로 유명 영화잡지에 정기적으로 글을 게재하였고 지금도 모 신문사에 몇 줄씩 적고 있다. 웃긴 것은 그걸 모아서 이 책을 냈다는 것이다. 그것도 처음이 아니라 두번째라고 한다. 그도 그 점을 아이러니하게 생각하나 보다.

영화 얘기가 읽고 싶어 골랐는데 그의 신변잡기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고 글 끄트머리에 대여섯줄 영화에 대해 적었을 뿐이다. 차라리 '도날드닭'으로 좀 알려진 이우일의 삽화를 보는게 내용 파악에는 더 좋을지도 모르겠다. 시간 절약도 할 겸. 앞에서 조금씩 읽다가 결국 책을 잠시 덮었다. 그리고 고민에 빠졌다. 도대체 내가 뭘 읽고 있는가? 다시 책을 잡고 목차를 훍어보았다. 소제목에 영화제목을 적은 경우 보다 그렇지 않은 것들이 제법있었다. 뭔 영화에 대한 이야기인지 생각하며 그 쪽을 펼쳐 읽기 시작했다. 제법 재미가 있었다. 그의 그러한 영화 얘기가 설득력을 얻기 시작한 것이다. 더 이상 영화에 대한 대여섯줄이 허접해 보이지는 않았다. 아~ 영화평을 이렇게 쓰는 것도 재미있군.

영화 같은 삶을 살기를 희망하는 사람이 제법있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자신의 삶 자체가 이미 영화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자신의 삶에 희노애락, 권선징악이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는 순간 당신은 한 편의 영화 속 주인공이 되어 있을 것이다. 아무도 '컷'이라고 외치는 않는 무한 영화 속으로 당신을 초대해 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