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답고 비싼 초고층 아파트가 있다. 내부에 학교와 약국, 피트니스 등이 모두 완비되어 있고, 주변의 너절한 환경에서는 거의 고립된 하이 클래스 명품 주거 공간. 이곳에 전문직 종사자들을 비롯한 고소득자들 1천가구가 입주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몇 달만에 지옥으로 돌변한다. 아파트 주변은 투척된 쓰레기로 둘러싸이고, 벽면에는 대소변이 흘러내린다.
이렇게 되는 데는 뭔가 계기가 필요한데, 작가는 그 계기를 소설 첫머리에서 정의한다. 로버트 랭 박사가 개를 구워먹으며 이 지경에 이르게 된 결정적인 계기를 찾으려 지난 3개월을 반추하는 것이다(물론 그 실마리는 찾아지지 않는다.). 이들은 어린애도 아니고 광인도 아니다. 심지어 출근해야 할 직장도 가지고 있으며, 광란의 도가니에서도 아침이면 몸을 씻고 출근하는 이들이 있다. 그러나 밤이면 이들도 똑같이 다른 층 주민을 사냥하러 다닌다.
엘리베이터의 출입을 막기 위해 통로가 파괴되고, 중앙공조장치에 대변이 뿌려지며, 층별로 전선이 형성되고, 인간들은 습격대를 조직하여 남의 집을 때려부수고 약탈과 강간의 축제를 벌인다. 그 와중에서도 슈퍼마켓은 돌아가고 관리인은 풀장을 청소하지만, 이것도 오래 가지는 않는다. 복도와 현관은 바리케이드가 되고, 그 와중에서도 인간들은 무언가를 부득부득 먹어치우며 생존해 나간다. 그 누구도 밖에 도움을 택하지 않고(이미 익숙해져 버렸다), 밖의 그 누구도 이 지옥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
사소한 사건들이 누적되고 갈등이 표면화되는 과정은 뜬금없다싶을 정도로 뻔한 내용들이고, 그것이 내놓는 결과는 참혹하다. 문명의 중심에서 문명이 몰락에 이르는 것이다. 발라드는 이 과정을 몰인정할 정도로 차갑고 잔인하게 묘사해 나간다. 전지적 작가시점에서 바라본 인간들은 마치 체스의 말처럼 그려지며(신이 되고자 하는 앤서니 로열/바바리안이 되고파하는 리처드 와일더/이성의 끈을 놓지 않으려 하는 로버트 랭 등), 이들 모두가 퇴화와 몰락의 과정을 거친다.
당연히도, 이 모든 일이 벌어지는 데 제대로 된 설명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발라드는 이렇게 말하고 싶은지도 모른다. “인간이 원래 그래”. 이러한 내용들을 보고 골딩의 파리대왕을 떠올리는 것은 일견 정당하다. 하지만 액션 영화의 팬이라면 크리스티앙 알버트의 2009년 영화 “팬도럼”을 떠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영화의 내용이 이 소설과 맞닿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을 그리는 방식이나 그 막장을 제대로 재현한다는 점에서는 이 영화와 같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발라드의 이야기를 제일 처음 접한 것은 슬립스트림을 언급한 비평글이었지만,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게 된 건 피터 마쓰의 “네 이웃을 사랑하라”에 좀 더 가깝다. 친구라고 믿던 이웃들이 무슬림을 사냥하러 다니던 지옥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취재원 생활을 한 마쓰는, 인간의 이성이 사멸하는 그곳을 논하며 이 소설을 인용한다. 그래서 “크리스탈 월드”하고 몇 편의 단편소설을 읽어 보았는데, 참 감당하기 힘든 작가인 것만은 사실이다. 다르게 말하자면 이렇다. “발라드의 지옥은 지금까지의 지옥과는 끕이 좀 다르다.” 굳이 말하자면 마쓰의 보스니아 르포가 이 수준에 달한 몇 안 되는 책이다.
※ 번역 면에서의 문제를 짚기는 좀 애매하다. 원문의 문장 자체가 좀 건조해 보이니까 번역문도 그런 식으로 나오고, 그 과정에서 비문이나 호응이 안 맞는 문장들이 나올 수 있다고 이해는 가능하다. 하지만 “얇은 허벅지”라는 문장은 김이 확 샌다. 대세에 지장을 안 주는 한도라고는 하지만, 일단 내가
제일 싫어하는 오류라고. 앞으로 발라드의 멸망 삼부작이 나온다는 소식이 있는데(불에탄세계/물에빠진세계/크리스탈세계) 다음 책은 좀 더 신경을 써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리고 이번 소설이 꼭 대박나서, 크래시하고 콘크리트섬도 발매가 되어 줬음 한다.
수정: 박해천 선생이 투이타에서 크래시는 출간이 되었다고 알려 오셨음. 찾아 보니 물에 잠긴 세계도 발간이 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