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미의 이름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0월
평점 :
오래 전에 구입했던 책을 뒤늦게 읽었다.
주석이 많은 책은 읽기가 쉽지 않다.
책을 제대로 읽으려면 어떻게 읽어야 할까? 일일히 주석을 찾아가며 다 해득하고, 그러면서 읽어야 할까? 아니면, 그냥 쓰윽 훑어보고 다시 정독을 하든지 해야 할까?
나중이 더 낫지 않을까싶은데 속이 꺼끄러워서 매번 페이지 하단의 각주를 일일히 읽고 다시 줄거리로 돌아오고 하는 성격이다보니, 도대체 이런 책은 진도가 안 나간다.
육아에 시달리던 때 보다가 그냥 덮어두었던 묵은 책이다.
그런데 다른 소설을 읽다가, 모티브를 따온 책이 '장미의 이름'이라 해서, 이번 기회에 다시 읽자고 꺼내들었다. 역시나 각주 때문에 헤매기는 마찬가지이다. 일일히 각주를 읽어보아도 그 내용을 다 알지 못하니 답답함은 크다. 그러나 거기에 크게 매이지 않고 그냥 줄거리를 따라가기로 맘먹는다.
기호학자, 움베르트 에코...
이런 사람들은 그냥 독자들을 기죽이려고 작정한 사람들이 아닐까?
중세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추리물. 거꾸로 되짚어 읽는 꼴이 되었다.
이인화도 <영원한 제국>에서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 지도 모르는 정조의 선왕(영조)의 서책을 둘러싼 이야기로 풀어내더니, 역시나 <장미의 이름>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2권을
전제로 하고 이야기를 꾸려간다.
수도원 안에서의 음모와 추적?
이것도 역시 제대로 보지 않은 영화의 단편적인 장면만 먼저 이미지로 떠오른다.
숀 코네리와, 내가 좋아하는 크리스찬 슬레이터가 나왔던 영화였는데, 나중에 비디오로 빌려보든지 다운받아 보든지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추리물로서의 내용은 흥미롭긴 하지만, 그렇게 특별할 것까진 없다고 여겨지지만 이야기를 꾸려가는 사이사이 교황과 황제를 둘러싼 권력 투쟁, 종파가 다른 세력간의 교리 논쟁, 중세 세계사, 교회사,..등등이 장황하게 펼쳐져 있다. 방대한 역사적,철학적 지식과 언어학, 기호학적 지식...
모름지기 책을 쓰려면 얼마나 많은 것을 자기 안에 담고 있어야 한다는 것인지.
책속의 수도원 지도를 옆에 두고 대조해가며 머리 굴려 가며 재미있게 읽었다.
마지막 장을 덮고, 고민을 한다.
에코의 다른 책을 볼 것인지, 성서공부책을 읽을 것인지, 역사서를 읽을 것인지, 한문 공부를 할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