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가 흥미로운 것은,

결국 그것이 '사람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소설이 재미있는 것은,

그것을 글자 밖으로 끌어내어 이리저리 해석함으로 가능하기 이전에,

그저 글 속에 몰입해서 줄기를 따라가느라 바쁠 때 가슴을 치는 무엇들로 인해 더욱 가능한 것이다.

'칼의 노래'로 김훈의 문체가 어떻네, 할 때 나는 별로 공감하지 못했다.

그의 딱딱 끊어지는 단문이 무어 그리 아름답단 말인가?

굳이 그것이 '아름다운 문체'다라고 한다면, 그것 역시 읽는 사람의 취향이다싶었다.

나중엔 다른 이의 다른 소설에서도 그 비슷한 문체들을 볼 수도 있었다.

그런 문체는 얼핏 오만한 자의식, 자만심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거듭된다면 좀 피곤하지 않을까 하는 느낌도 들었다.

문체란, 그저 수단이다. 각각의 이야기에 적합하면 좋을 것이고, 어울리지 않는 자리에서까지 고집한다면 오히려 거부감이 일 수도 있다.

'남한산성'에서는 크게 과하지 않아서 좋았다. 오히려 그전 소설들보다 깊은 맛이 났다.

 

솔직히 처음 '남한산성'의 광고를 보면서 호기심이 일었던 것은 김훈의 문체니 문장이니 하는 것보다 오히려, '남한산성'의 역사성이었다.

그런데,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울컥 울었다.

그래서 아주 쉽게, 이 소설은 잘 쓴 소설이고, 좋은 이야기라고 결론지었다.

독자가 감동을 받는 것 이상의 더 좋은 소설이 무엇이겠는가?

한 남자의 감성을 헤집어 끊어내듯 표현하는 것보다(칼의 노래), 훨씬 짜임새 있고 울림이 있는 그런 소설이다.

 

보통 나같은 사람의 가슴을 울리는 것은 주로 그런 경우이다.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절박한 상황에서의 기댈 곳 없는 심정을 맛볼 때,

타인의 그러함을 엿볼 때.

무엇이 가능할까?

타인을 향한 질시,시샘,계산...아무런 것도 가능하지 않은 오롯이 '나'만의 절박함.

제각각의 인물들에게 그러함이 있다고 보았다.

그들 사이에 어떠한 '말'이 떠돌든, 그것이 굳이 이념, 가치의 갈래가 아니라

제각각의 절박함으로 읽혀졌다.

 

나는 먹먹하게 울었다.

<...서날쇠가 눈 위에 꿇어앉아 김상헌에게 큰절을 올렸다. 김상헌이 땅에 엎드려 맞절로 받았다. 예조판서의 머리와 대장장이의 머리가 닿을 듯이 가까웠다...>

잘 읽었다.

그러다가 말미에서 잠깐,

<.....수레 위에서 여자들은 깔깔거렸다. 여자들이 길가에 엎드린 백성들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 에서 쓴웃음이 나왔다.

내가 아줌마이고 여자이어서 그랬을까? ...김훈...이로군, 싶었다. 비슷비슷한 류의 몇몇 작가들이 떠올랐다.

 

여하간, 잘 읽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25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