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에게 - 스무 살이 되는 당신
장영희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갑자기 마음이 조급해졌다.

아이가 자라서 언젠가는 부모 품을 벗어나리라 막연하게라도 상상을 했던 때가 있었는지조차 모르겠다.

스스로 원하는 전공을 택하다보니, 불현듯 딸이 내 품을 떠나게 되었다. 최소한 6년은 떨어져 살아야 할 세월이 눈앞에 닥쳐왔다.

아, 이런. 아직 아무런 준비도 안 되었는데...

어느 날부터였을까, 자연스러운 사춘기를 겪으며 아이가 부모보다는 친구와 더 가깝게 지내게 되던 시절.

 하루 온종일 자율학습까지 포함한 시간들을 학교에서만 보내다가, 한 번의 입시 실패를 겪고 역시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학원과 도서관으로만 돌던 아이, 그런 아이를 아예 다른 지방으로 떠나보내야 하게 되었으니 한동안은 겉잡을 수 없이 마음이 착잡하고 불안정해졌다.

아침 밥상에서, 저녁 식후에, 그렇게 느긋하게 잠깐씩이라도 TV뉴스를 보며, 혹은 신문에서 읽은 내용들을 떠올리며 세상 얘기도 나누고, 자잘한 일상에 대해 가려진 가치관들을 살짝 두드려 살펴보기도 하면서, 더 긍정적인, 온전한 존재로 키우고 싶은 그런 욕심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랬는데, 미처 그런 틈을 주지도 않고 훌쩍 떠나보내야 하다니.

스무 살.

내가 스무 살 무렵에 어땠을까?

결국 아이가 받아들이는 것은 '잔소리'로 밖에 여겨지지 않겠지만, 막상 어른이 되어 아이에게 무언가를 일러주고 싶어 한다는 것은, 지난 세월 겪었던 무수한 시행착오를 되풀이해서 겪게 하고 싶지 않다는 욕심 때문이리라.

그랬다. 욕심이었다. 내가 겪었던 시행착오들을 아이가 다시 겪지 말아야 한다는 법도 없었고, 혹여 내가 미리 일러주었다고 해서 별다르게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장담도 할 수 없을 것이며, 내가 잘못 겪어낸 시간들이 있었다고 해서 내 아이도 똑같이 그렇게 지내지도 않을 것인데,

미리서 조바심 내는 것은 그야말로 '노파심'인 것이다.

그래, 주어진 것은 네 삶이고, 네 길이다.

부딪고 깨지면서, 아파하면서 극복해내겠지.

어쩌면 훨씬 더 강하고 슬기롭게 잘 살아낼 텐데, 소심한 엄마의 쓸데없는 걱정만 앞서는 것이다.

그러다가,  신문 광고에서 이 책을 보았다. 몇 명의 낯익은 이름만 보고서 썩 실패(?)하지는 않으리라는 기대로 구입했다.

딸 손에 들려주기 전에 훑어보면서, 피식 웃기도 했다.

그래, 우리 때는 그런 말도 했었지. "왜 전에 우리한테 이런 걸 구체적으로 가르쳐주고 일러주는 사람이 없었지?"

진취적이고 진보적이며 공동체적인 삶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은 다소 약할 지라도,

충분히 현실적인 조언이 될 수 있을 그런 내용들이 있다.

바로 옆에 붙어 앉아 잔소리를 해주고픈 엄마의 조바심들을 이 책으로 살짝 덜어본다. 이미 개학을 해서 일주일을 보낸 딸이 다니러오면 건네줄 책들을 고르고 있다. 그 위에 한 권 더 얹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