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씨>9집, 스티커를 붙인 풀꽃달력을 서점에...  

제9회 풀꽃상 '논' 이야기가 담긴 책 <풀씨> 9집, 풀씨님들 어떻게 잘 읽고 계신지요.
사이트를 통해 책을 주문해 주시고, 책을 읽고 난 뒤 감사와 감동의 인사를 보내주신
여러 풀씨님들을 만날 때마다 힘을 얻습니다.
책을 받아보셨을 천 여 분의 풀씨님들 한 분 한 분 여쭈지는 못하지만,
드러나지 않는 그 분들의 마음이 풀꽃세상을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말씀드렸듯이, 이번 <풀씨>9집은 그물코 출판사의 도움으로 외부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의 대형서점들과, 지역의 소규모 서점들에서도 '논' 이야기로 가득한 <풀씨>9집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온라인 서점에 가셔서 '풀씨'를 검색하셔도 우리 책을 만날 수 있구요.

그동안 드린 풀꽃상과 이번에 아홉 번째로 드린 풀꽃상도 예외없이, 시의성을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사회적으로 설득력을 갖고 있다 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이번에 '논'에게 드린 풀꽃상은,
절박한 위기에 놓인 우리 농업의 현실속에서 작은 환경단체의 회원들이
이 땅의 논과 그곳에 뿌리박고 살아가는 소농들에게 드리는 감사의 한 방식으로 환경상을 드리고,
감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현실의 실천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하겠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풀씨>9집을 우리 손에서 읽고 마는 것이 아니라,
외부판매라는 적극적인 방법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려고 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지난 달 말서부터 시판되고 있는 <풀씨>9집의 판매량은 저조합니다.
신간코너에 사람들 눈길이 잘 닿는 곳에 진열이 될 수 있도록,
그물코 출판사에서 영업을 담당하고 계신 잡풀님께서 신경을 많이 써 주셨지만
하루에도 수십 권씩 쏟아져 들어오는 신간 속에서
<풀씨>9집은 점점 뒷줄로 밀려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비소설 코너에 진열되어 있는 <풀씨>9집은 꾸준한 판매가 되지 않는 한, 다른 진열대에 오르지 못하고
굳이 사람들이 찾지 않는 한 발길이 머물기 힘든 서가 한 쪽에 꽂혀 있게 될 운명에 놓여 있습니다.
하루에 단 한 권이라도 꾸준한 판매가 이루어지면, 서점 측에서도 책을 진열대에서 빼진 않는다 하더군요.

지난 주에는 풀씨님들이 모여 <풀씨>책을 퍼뜨리기 위한 여러 아이디어들을 모으고,
소리소문없이 <풀씨>책이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부천 교보문고에서, 대구 교보문고에서
한 권 두 권씩 판매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얼마나 기쁘고 좋던지요!

책을 구입하지 않더라도, 온라인 서점에 독자리뷰를 적는 것 만으로도 <풀씨>9집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좋은 길이 된다는 이야기는 <게시판>을 통해 드리기도 했습니다.
단 몇 줄이라도, 풀씨님들께서 책을 읽고 난 뒤의 느낌들을 온라인 서점에 적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지난 해 제작한 풀꽃달력 2만부 중에서 상당한 양의 불량이 나와
다시 제작을 했다는 소식을 드린 적이 있지요.
아예 못 쓸 정도는 아니지만, 천원을 받고 판매하기에는 하자가 있는 달력들이 풀꽃방 한쪽에 쌓여있었는데,
장터지기 길풀님의 아이디어로 그 달력 표지에 <풀씨>9집을 알리는 스티커를 붙여
광화문 교보문고 매장에 놓고 우리 책을 구입하는 사람이든 아니든 가져가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렇게 준비한 달력이 2천부, 그 중 1천부 가량을 이틀에 걸쳐 교보문고를 통해 시민들에게 나눠 드렸습니다.
판매대 위에 올려진 풀꽃달력의 인기야 (그것도 거저!^^) 말씀 안드려도 잘 아시겠지요.
그렇게 달력을 가져간 분들 중 단 몇 분이라도 저희 사이트를 찾아 와 보시고,
<풀씨>9집을 한 번 살펴봐 주신다면 그것만으로도 감사한 일이겠지요.



지난 주 토요일 오후에 풀꽃방에 들르신 은성풀님과 동백꽃님, 그린풀님과 시냇물, 꼬마풀이
스티커 붙이는 작업을 도와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인사 드립니다.



칼날같은 바람에도 입춘 지난 자연의 시간이 봄을 느끼게 해 주는 휴일,
근처 가까운 서점에 가시게 되면 우리 책 <풀씨>9집을 살펴봐 주시고,
흐뭇하게 한 번 쓰다듬어 주시면 어떨까요? 주변 분들에게 선물로 한 권 구입하셔도 좋구요.

'논'에게 풀꽃상을 드린 풀씨님들 한 분 한 분이 <풀씨>9집을 통해
우리 농업과 농촌의 소중함을 알리는 메신저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http://www.fulssi.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