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이야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파이는 인도에서 동물원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어머니 형과 함께 살고 있는 호기심 많은 아이입니다.  그가 여러 사람들을 이해해 가는 모습을 보면 정말 애어른이 따로 없구나! 하는 말이 절로나올 정도로 생각이 깊은 아이지요. 호기심도 많고 신앙심도 깊어(?)서 모든 종교에 관심을 보이며, 모든 신을 아무런 색깔없이 따르기도 합니다. 저 또한 모태신앙인 천주교와 잠깐 접해 본 기독교, 대학에 들어와 불교신앙에 빠져 본 사람으로써 동지를 만난 것 같아 기쁘더군요. 물론 저는 이슬람교나 힌두교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인간들이 벌이는 싸움(두 종교간의 오랜 전쟁)으로 두 종교의 교리를 평가하거나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아마도 그 두 종교 역시 사랑과 자비, 은혜를 제일 덕목으로 여기리라 믿어 의심치 않으니까요. 이렇게 모든 신을 아낌없이 사랑하는 파이에게 멀리 혹은 가까이 계실지도 모를 신께서는(혹은 신들께서는) 신앙을 강요한 시련이나 시험 대신 인간으로서 가장 원초적인 본능을 일깨우는 사건을 던져줍니다. 바로 삶에 대한 집착이지요.. 무수히 많은 시련에도 파이는 신들에게 기적을 바라지 않습니다. 그는 그저 인간의 본능 그대로 견디고 또 견디고, 또 견디어 냅니다. 어찌보면 참 아이러니한 사건이지요. 이 소설에서 아이러니 한 것은 이것 뿐만이 아닙니다. 인간과 뱅골 호랑이와의 기막히 동거가 지속된다는 것과 그로인해 파이가 결국 생명을 이어간다는 것 또한 그러하니까요!

파이의 가족은 정든 인도를 떠나 새로 입양될 몇몇의 동물들과 함께 캐나다로 떠나는 배를 타고 얼마 후 이 배는 기계적인 문제일지도, 악천후때문일지도 모르는 사건으로 좌초됩니다. 그리고 유일한 생존자는 파이와 뱅골호랑이, 하이에나, 오랑우탄, 다리가 부러지 얼룩말뿐이지요. 아! 배에 숨어 있던 쥐를 빼먹을뻔 했군요! 좁은 구명보트 안에서 하나의 인간과 다섯의 동물은 자연 그대로의 법칙을 따르기도 하고 자연의 법칙을 어긋나기도 한 동거를 시작합니다. 동물들간의 약육강식의 법칙에 따라 뱅골호랑이만 남겨진 후 부터 파이는 언젠가 곧 자신이 먹이가 될 것임을 의심치 않습니다. 그 분명한 사실이 실현 되지 않도록 그는 뗏목을 만들고, 호랑이를 보살피며, 호랑이를 길들이지요. 참으로 놀라운 것은 배가 좌초된 후 얼마간 파이는 자신의 목숨에 대한 집착을 버립니다. 곧 죽겠구나 하고 최소한의 위험에서만 벗어난 체 몸을 방치하지요. 하지만 오히려 뱅골호랑이와 파이 둘만 남게 된 후부터 그는 목숨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요. 그리고 결국 그가 삶을 계속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뱅골 호랑이와 함께 있었기 때문임을 깨닫습니다.  

사람들은 말하곤 하지요, 죽음이 가장 가까이 있을때 삶에 대한 집착이 가장 강한 법이라고. 자살을 여러차례 시도한 사람이 사형선고와도 같은 병에 걸리면 삶에 대한 집착이 강해진다는 이야기는 모두 한번쯤 들어봤을테죠? 어쩌면 보이지 않는 죽음은 동경하면서도 눈앞에 보이는 죽음은 부정하는 이유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외로움에 대한 두려움이 죽음보다 더 크기 때문이고, 외로움에 대한 극복이 삶을 다시 갈구하게 만드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신만이 이 세상에 홀로 있는 것 같은 외로움은 두려움을 만들고 결국은 우울증에 빠져 자살을 결심하게 되지요. 만약 파이가 뱅골호랑이가 없이 홀로 구명보트에 남겨졌다면 그는 과연 안전하다 말 할 수 있을 까요?  망망대해에서 홀로 남겨지는 것 보다 무서운 것이 어디있을까요? 톰행크스 주연영화 캐스트어웨이에서 그의 배구공이 생각나는 이유는 아마 이것때문이겠죠. 비록 자신과 함께 있는 존재가 언제든 자신을 한입거리 먹이로 여길수도 있다는 사실에 파이의 삶에 대한 의지는 더욱 확고해지는 것이 아닐까합니다.  

이 놀랍고 거대하며 한없이 고된 여정이 해피엔드로 끝남에도 사람들은 그의 말을 쉽게 믿지 못하지요. 그가 살아남기 위해 꼭 필요했던 호랑이와 그가 겪은 무수한 일들.. 눈먼 프랑스인과의 만남이라던가 식인해초섬과 같은.. 것들말이예요. 하지만 나는 그가 겪은 일을 거짓이라 생각치 않아요. 극한의 상황에서 보이는 신기루라 생각하지 않죠. 고작 16살인 소년이지만 한계를 극복하는 그의 모습을 믿음으로써 내가 느껴지는 것, 얻어가는 것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