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인으로 태어나 한국에서 사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느낄 때가 있다.
몇해 전 TV에서 방영 된 일제시대 강제이주 된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았을 때도 그렇고, 이 책의 주인공인 스기하라의 통해 알게 된 재일 한국인(혹은 조선인)들의 모습을 통해서도 그렇다.
물론 가네시로는 이 책을 스기하라에 관한 연애소설이라고 처음부터 못을 박아두고 있다. 하지만 작가가 투영된 주인공이 처한 현실은 결코 이 책을 연애소설이라고만은 할 수 없는 묵직함이 있다. (물론 소설은 매우 산뜻하고, 속도감이 있으며, 재미있지만^^)
스기하라는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의 문화에 길들여져 살아가는 자신이 일본인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조선인 학교를 다니며, 조선 국적(후에는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그는 정작 자신의 국적에 해당하는 조선(북한)을 가본 적이 없음에도 일본인들에게 철저히 외국인의 대접을 받을 뿐이다. 스기하라에게 있어서 국적은 결코 그를 단정짓거나 정의내리는 요인이 아님에도 그가 일본에 살면서 일본의 국적이 없는 이유만으로 여러 가지 행동의 규제를 받으며, 그의 사랑하게 된 사쿠라이로부터 잠시동안이긴 하지만 이별통보를 받게 된다.
그는 인정하고 싶지 않겠지만 그의 정체성은 상당부분 국가에 의해 좌우가 되는 것이다. 물론 그의 이러한 고민들이 전혀 청소년기를 보내는 것 같지 않은 스기하라에 태도들로 인해 너무 쉽게 결정되고, 그가 가진 약간의 폭력성 때문에 희미해지는 설정이 아쉽지만, 일본에서 살아가고 있는 재일한국인들의 삶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이 좋았다. 일본에서는 한국인으로 한국에서는 일본인으로 치부하며, 마치 공기중에 뜬 것과도 같은 그들.. 국적은 있되 진정한 모국의 의미를 잃은 그들의 고충을 느낄 수 있다는 점 또한..
그들을 대하는 나의 태도 또한 많은 부분 고쳐야 하겠다고 반성해본다. 그들이 자신들을 한국인으로 생각하든, 일본인으로 생각하든 그것은 그들의 개인적이고 존중되어야 하는 의사이다.  다만 그들의 뿌리가 이곳임을 상기하며, 그들을 포용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