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내가 죽은 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영미 옮김 / 창해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문득문득 떠오르는 기억중에.. 마치 안개에 휩싸인듯한 밤거리에 곧 쓰러질것만 같은 이층집 주위를 맴돌며 아빠를 찾는 나를 끄집어 내곤 한다. 이 기억속에서 나는 길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가득한 체 아빠를 찾는 나를 바라보는 제3처럼 기억되곤 한다.  이런 기억이 진짜있었던 일인지 엄마에게 묻고 싶어도 내 기억속에 내가 너무 어려서 설마 이런 어린여자애가 깜깜한 밤에 혼자 돌아다니게 놔뒀을까? 하는 의구심에 과거 내가 절망 실제같은 꿈을 꾸고 그것을 실제 일인냥 착각하는 것은 아닐까 하고 묻어두곤 한다.   

이 책속에 빠져 있던 밤.. 왠지 등골이 서늘했던 이유는 아마도 꿈일것이라고 치부해왔던 기억이 더욱 생생히 떠올랐기 때문이다. 공포와 불안감에 휩싸여있는 나의 한없이 안쓰러운 모습이 눈앞에 펼쳐졌기 때문이다... 만약 나의 이 기억이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면. 왜 나는 그일의 처음과 끝(아빠를 찾고자 헤매고 다닌 이유와 결국 아빠를 찾았는지에 대한...)이 기억나지 않는 것일까?  누구나 사야카와 마찬가지로 예전에 자신이 죽은 집을 가지고 있다는 히가시노의 말이 가슴에 쿵하고 가라앉았다... 

전혀 기억나지 않는 유년시절..자신의 친딸을 학대하는 자신을 바라보면서 그것이 기억나지 않는 유년시절과 연관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사야카는 아버지의 유품인 지도 한장과 열쇠 하나로 부터 자신의 과거를 밝히기 결심한다. 자신이 어렸을 적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를 기억조차 못하면서 그것이 대물림되는 상황속에 사랑받지 못한 사람은 사랑할 줄 모른다는 사실이 파고든다. 참으로 무섭다. 자신도 모르게 배우게 되는 습성.. 자식을 학대하는 부모들을 심리적 치료를 하다보면 꼭 그 자신도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의 상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심리치료전에는 그 학대의 기억으로부터 자신을 완전히 떼어놓는다. 상처를 끄집어 내고 치유를 하기보다 자신과 떼어놓고 곪게만들고 자각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자식에게 되물림을 하는 것이다.  

그런자신이 무서워져 자신의 잃어버린 과거를 찾고자 첫사랑인 고등학교 동창 나카노와 함께 열쇠의 주인인 집을 찾아간 사야카... 어둡고 음습한 비오는 날씨속에 우두커니 서 있는 그 폐허가 되버린 그 하얀집은 그 둘에게 서서히 그리고 오싹하게 비밀을 풀어낸다. 나카노는 그 비밀들을 통해 불길한 비극을 예감하는데.. 결국 그 예감은 사실이 되어 사야카의 기억을 모두 돌려 놓는다. 그녀가 어린시절에 대한 기억을 억압할 수 밖에 없었던 엄청난 상처를...  

나카노는 반문한다. 과연.. 그녀의 과거를 찾고자 했던 그날의 일이 옳은 일이였을까?  자신 스스로를 지키기위해 스스로가 삭제해 버린 기억... 다행이도 사야카는 그 사건들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드리고 치유하기로 마음먹은 것 같다. 다 치유되고 난 후 사야카의 모습은 어떻게 변했을까? 자신의 딸을 사랑하는 방법을 알게 된 엄마로 바뀌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