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처음 읽은 것은 1993년 8월이었다. 작고 얇은 한 권의 책이지만 어지러웠던 시대의 아픔을 증언하고 대변하는 독특한 양식에 매료되어 하룻밤을 샐 만큼 내게는 특별한 책이다.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의 문제로 치열하게 고민하고 예민한 감수성을 다스리지 못하여 울고 웃기를 반복하던 시기에 '나의 서양미술 순례'라는 이름으로 그림 속에 깃든 역사를 추적하여 다니는 서경식의 여행기는 잠을 빼앗아 가기에 충분했다.

인간의 역사는 고통으로 얼룩져 왔고 그것을 기록하는 화가들의 영혼은 치열할 수밖에 없음이다. 두 형을 독재정권의 손아귀에 빼앗기고 부서진 가족의 파편을 먼 이국의 땅에서 발견하고 감회에 젖어 기록하는 사람 또한 또 하나의 예술가임은 분명하다.

회화에는 일자무식이었던 내가 이 한 권의 책으로 감동받으며 잊을 수 없는 그림 몇 개를 가슴에 각인 시킨 것은 결코 잊을 수 없는 경험이다. 그리고 이후에는 어떤 그림이든 역사를 캐고 읽으며 이야기를 만드는 습관이 생겼으니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는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몫으로 지고 있는 짐이 너무 무겁다고 느껴질 때 생각하라, 얼마나 무거워야 가벼워지는지를.  내가 아직 자유로운 영혼, 들새처럼 날으는 영혼의 힘으로 살지 못한다면, 그것은 내 짐이 아직 충분히 무겁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현종의 시를 읽으면 머리가 맑아진다. 명쾌하고 유쾌한 언어의 유희에 저절로 어깨가 들썩여진다. 한 때, 이 사람의 시에 마약처럼 취해 살았다. 과거가 되어버린 현재를 끌어안고 아직도 꿈을 꾸는 내 나이, 서른 중반.

<새는 울고 꽃은 핀다. 중요한 건 그것밖에 없다.>

때로는 이런 명료함이 절실하다. 특히나 지금, 불확실성의 시대에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사람들이 다녀갔다. 혼자는 외로워서 둘이랍니다, 라는 싯귀가 모든 사람들에게 통하는 것은 아닌가보다. 유달리 번잡함을 질색하는 나는 나 아닌 누군가의 존재를 견디지 못하고 전전긍긍할 때가 있다. 가족이라도 마찬가지다.

혼자임을 즐긴다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그럴듯한 변명이자 위안이 아니냐고 하지만 내 생애 가장 고통스러웠던 순간은 사람들 속에서였고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홀로 있는 시간이었다. 그렇다고 외로움을 모르는 병적인 인간이냐하면 그건 아니다. 적당한 고독이나 쓸쓸함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범인일 뿐.

사랑하는 가족들과의 해후는 반갑고 즐겁다.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고 인사하고 떠나는 과정도 유쾌하다. 아마도 내가 질색하는 것은 사람이 지나간 그 자리의 어수선함일 것이다. 형식에 매이지 않는 사고방식도 타인과의 소통에서는 적당한 위선과 연기를 해야 하니 불편하기도 하고, 여럿이 모이는 곳에서의 의식적인 배려와 낮춤이 천성적으로 타고나서 쉬이 지치는 탓도 있다.

오늘은 좀 특별한 날이었다.  그까짓 것 쯤이야 하지만 아무런 생각이 없을 수는 없다. 즐기는 것 자체를 거북해하는 성격만 아니라면 왁자하게 놀아도 좋을 날이다. 하지만 이런 인간으로 이미 만들어진 것을 어쩌랴. 남과의 다름은 그저 차이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처럼 일본과의 불협화음으로 마음이 쓰라릴 때, 이 만화의 주인공 사카모토 료마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왠지 싫지만, 어느나라의 것이든 흥미롭고 재미난 만화에 끌리는 것은 본능일 뿐.

일본인 중에는 한국에서 자국의 문화가 유행하는 것에 우월감을 느끼고 드러내서 잘난 척을 한다고들 하는데, 잘난 것을 잘났다고 하는데 어떤가. 아닌 것을 기라고 하는 것 보다야 백 배는 솔직하다. 그래, 당신들 잘난 것 알아, 아니까 왠만하면 실수도 인정하지 그래.

사카모토 료마라는 인물은 현재 일본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역사인물 중의 하나라고 한다.  그의 사상과 이상은 현재의 일본이 있기 위한 주춧돌이 되었다. 일본 근대화의 선구자로 바다 건너 다른 세상를 지향하고, 신분제도의 부조리와 무지몽매한 국민을 깨운 그의 세계관은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를 침략하는 발판이 되었다.

만화는 료마의 천진난만한 어린시절을 다루고 있다. 못생기고 어리숙한 료마는 친구들에게는 놀림감이고 집에서는 천덕꾸러기 바보취급을 당하지만 누구보다 마음이 착하고 여린 소년이다. 병상에 누운 어머니를 그리워하고 놀기를 좋아하던 그에게 바깥 세상의 이해되지 않는 부조리가 하나씩 다가온다.

귀여운 그림체와 유머러스한 글과 어우러져 료마가 저지르는 실수들과 생각들은 웃음과 가슴 찡한 감동을 동시에 준다. 결핵으로 죽어가는 어머니를 생각하는 료마의 마음과 저보다 무지하고 가난한 친구를 돕는 무의식적이고 사소한 행동이 그렇고 검술을 배우는 아기자기한 에피소드도 유쾌하다.

청년 료마는 아직도 요원하지만 기대된다. 비록 만화를 통해서지만 메이지유신이 일어나기 전의 일본 사회를 엿보는 재미가 크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annerist 2004-01-31 2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동아공영권으로 대표되는 일본 군국주의의 발흥과 임진왜란을 혼동하신거 아닌지요.

한번 읽어봐야겠습니다. 시바 료타료의 료마가 간다 도 본다본다 하면서 아직 안봤는데요.

겨울 2004-02-01 1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뭐든 대충대충 얼버무려 쓰는 성격이 여기서... 야마오카 소이치의 '사카모토 료마'를 흥미롭게 읽은 기억만은 또렷한데, 아쉽게도 그 책은 아는 이에게 빌려주어 내게 없다. 만화를 보면서 소설을 다시 봐야겠다 작정은 했지만 이왕 보는 거 시바 료타로의 '료마가 간다'를 읽고싶은 바램이다. 근데, 무려 10권이란다.
 
 전출처 : Smila > 랄프 왈도 에머슨의 '성공'에 대한 정의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총명한 사람들의 존경을,
아이들의 애정을 받는 것.
솔직한 비평가들의 칭찬을 받는 것.
거짓 친구들의 배신을 참고 견디는 것.

미를 감상하는 것.
다른 사람에게서 최선을 발견하는 것.
그대가 있었기에 한 생명이라도
좀더 수월하게 숨을 쉬었다는 사실을 아는 것.
이런 것이 성공이다.

 

자기 일에 대한 열정을 가진 사람은 무기력하게 사는 사람보다 열 배는 고통스럽다. 삶이 가벼운 것은 생각의 무게 탓이다. 번뇌를 끊은 수도승은 세상밖으로 발길을 돌리지 않는다. 아무리 명징한 사고라도 세속의 삶과의 단절로 얻은 것은 자아도취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

화내고, 소리치고, 울고, 웃으며 숨가쁘게 사는 누군가가 떠오른다. 빨간 얼굴로 급하게 어디론가 걸어가는 사람. 고여있거나 정지된 것을 참지못하고 뛰듯이 걷는 그녀야말로 뜨거운 열정의 소유자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로운삶 2004-01-18 0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머슨의 이 시는 저도 가장 좋아하는 시 중의 하나랍니다.
http://hibn.com.ne.kr/poem8에 원문과 대조해 놓았으니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