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이라는 말은 국어사전에 없다.
그러나 실제로 혼불을 보았다는 사람은 많다.
그것은 우리 몸 안에 있는 불덩어리로, 사람이 제 수명을 다하고 죽을 때, 미리 그 몸에서 빠져나간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에 혼불이 있으면 산 것이고, 없으면 죽은 것이다.
혼불은 목숨의 불, 정신의 불, 삶의 불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은 또 사람을 사람 답게 하는 힘의 불이기도 하다.
즉 혼불은 존재의 핵이 되는 불꽃인 것이다.
이미 혼불이 나가버린 사람의, 껍데기만 남은 어둡고 차디찬 몸을 살아 있다고 믿는 어리석음이여!
나는 혼불이 살아 있는 시대를 간절히 꿈꾸면서
우리의 역사에서 가장 어둡고 아픈 일제 강점기
한 가문의 진정한 삶을 일궈내는 상처의 삼십 년을 쓰고 있는 것이다.
그 눈물 나는 해원의 굿이 열리는 마당으로
나는 소설 ‘혼불’을 쓰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1995, 미국 시카고대학 노스팍칼리지 초청강연
<소설 “혼불”을 통하여 본 한국인의 정서와 문학적 상상력, 그리고 작업과정>
‘
혼불’을 읽는다는 건 어떤 아주 아주 오랜 기억들과 마주하는 경험이다.
예전에는 사용했는데 지금은 들을 수 없는 단어, 고샅은 골목을 의미한다.
고샅이라는 말에는 할머니의 기억이 묻어있어 정겹다.
할머니도 여장부셨다. 청암부인처럼 19살에 과부가 되셨고 자식 셋을 거느리고 굴곡 많은 세월을 살아내셨다. 내 유년은 온통 할머니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졌다. 할머니 따라서 밭을 메고 모내기를 하고 뽕을 따고 감을 따고 밤을 딴 소소한 일상들.... 쉬지 않고 일하고 또 일하고 일만 하시던 할머니.
할머니는 일제 강점기와 전쟁을 다 겪으셨다.
전쟁 중 남편과 아들을 잃었고 살아남은 큰 아들은 군대에서 앗아갔다.
온전한 정신으로 버티고 살아온 것이 기적인 할머니의 그 삶 안으로 들어가는 경험을 '혼불'이라는 소설을 통해 하고 있는 셈이다.
‘혼불’의 언어는 전라도 사투리가 지배한다.
전라도에서 나고 자란 사람은 읽기가 더 수월하지 않을까 싶다.
나는 몇 번을 읽어도 해석이 요원해서 애먹었다.
경상도 사투리의 투박함보다 더 비틀린 느낌이 낯설어서 몇 번을 읽어야 했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철저히 고증에 입각하여 그 지역 토박이의 언어로 말하듯이 썼다.
한마디로 어려운 소설이다.
올 한 해의 마무리와 시작은 ‘혼불’로 태워 활활 타올라 볼까.
죽고 살고 엎어져서 논 매고 밭 매도 이녘의 목구녘에는 보리죽이 닥상이고 손톱 발톱 다 모지라지게 베를 짜도 내 생에 얻어입는 것은 요 사발만한 두루치 한쪼각이여 - P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