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토부 우지시 우토로 51번지
이 곳이 재일조선인 부락으로 형성된 것은 1941년 제2차세계대전 중 교토 군비행장 건설을 위해 일본 정부에 의해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가 함바(노동자가 집단으로 합숙하던 가건물)를 만들어 생활하면서부터다.우토로는 처음에는 사람이 살 수 있었던 지역이 아니다.

 식민지 조선인들이 조국을 떠나 우토로에 들어오게 된 경위는 다양하다.강제징용으로 일본으로 끌려왔다가 우토로로 흘러 들어온 사람,일본군 징용을 피할 수 있다고 해서 노무를 선택한 사람,큰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거짓 선전으로 이주해 온 사람 등.요컨대 총칼 앞에서 강제 징용 당하거나,논밭을 빼앗기는 등 생계수단을 빼앗겨 입에 풀칠이라도 하기 위해 도일해온 사람들이다.

 1945년 일본이 패전하자,비행장 건설은 중단되었고 이들은 하루아침에 실업자로 전락하였다.많은 조선인들이 해방의 기쁨을 안고 자비로 일본을 빠져 나갔지만,조국에 친척도 집도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던 사람들,배 삯을 구할 수 없었던 사람들은 그 자리에 남았다.여건이 허락하는 때에 곧 돌아가리라는 희망을 품고서...일본 정부와 기업은 전후보상은 커녕 최소한의 인도적인 배려도 없이 이들을 방치했다.

 조선인들은 언젠가는 조국에 돌아갈 날을 손꼽으며 자신들의 역사와 글을 잊지 않기 위해 마을 한 가운데 조그만한 학교를 짓기도 하였다.민족학교는 일본 정부의 탄압을 견디지 못하고 1949년 폐쇄되고 말았다.일본 사회의 극심한 차별 속에서 조선인이 취업을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다.제대로 교육을 받는 일도 쉽지 않았다.

 대부분 폐품수집 혹은 공사판에서 일하면서 연명하였다.1988년까지 우물물로 생활하는 차별과 극빈 속에서도 이들은 귀화를 거부하고 서로 상부상조하면서 60년 이상을 우토로에 살아온 것이다.이렇게 우토로 51번지는 일본의 강제징용 조선인 부락으로 형성되었다.현재 65세대 202명의 재일조선인이 거주하고 있다.

표지 전문에서..




나는 '여기서 살아라'고 해서 쭉 여기서 살았습니다. 근데 왜 이제 와서 우토로에서 나가라는 소리를 들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왜 재판소에 불려 다니면서 우리들이 피고석에 서야하는지 정말 억울합니다.

본문39쪽에서.. 


우연히 알게 된 우토로..

한달새에 이 우토로에 대해 4번씩이나 다시 접하게 되었다면 우연이 아니라 내가 필연적으로 알아야 하는 마을일것이라는 생각에 이 책을 구매하였습니다.

읽는 내내 마음이 너무 아파서,아니 아픈게 아니라 먹먹하니 마음 한구석이 꼭 심장을 랩으로 칭칭 동여맨양 너무 아리고 아려와서 눈물만 계속 흘렸습니다.

 D-19  10월5일
지금 이 땅의 지주 닛산이 강제철거하겠다고 내걸은 시한이 이제 19일 남았습니다.
내일이면 18일 그다음날에는 17일,16일,15일..점점 다가오는 시한..

이 책의 10%는 우토로 재일조선인의 거주권 보장과 역사보전을 위해 기부됩니다.그리고 지금 http://www.beautifulfund.org/foundation/addOn/campaign/cp_content.jsp?c_no=006005001&CampaignID=7에서 기금 모금도 하고 있습니다.저도 지금 작은 금액이지만 기부하고 왔습니다.

이번 아프간 피랍 사건에서 국민 혈세로 허튼 돈을 썼니마니 그 돈으로 북한에 아직도 억류된 포로들이나 데리고 오지..뭐 이런 생각 했었습니다.우토로의 재일조선인들도 우리 국민입니다.돈이 없어 인질로 우토로에 잡혀 있는 우리 국민입니다.일본 정부에서 외면하고 대한민국 정부도 나몰라라 한다고 저렇게 내버려 둘수는 없습니다.
우토로 주민들도 저 땅을 사려고 노력하지 않았던 것은 아닙니다.땅값이 쌀때는 지주地主가 팔기를 거부해서 살 수 없었고,같은 한국인에게 사기를 당해 보상금을 떼이기도 했고,이제는 정말 땅값이 너무나 뛰어올라 생활보호대상자가 대부분인 우토로 주민들로서는 어찌해 볼 도리가 없습니다.

여러분은 어쩌시렵니까?
몰랐으면 몰라도 저들의 아픈 사연을 알아버린 이상 저는 당분간 두발 뻗고 잠을 이룰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부터 좋아하는 와인값 조금씩 줄여 저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조금씩이라도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기금 모금에 동참해 주셨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