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코레아니쿠스 - 미학자 진중권의 한국인 낯설게 읽기
진중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진중권의 책은 크게 전문적인 미학서적과 사회비평서적의 두 유형으로 나뉜다. 지식인의 저서가 이렇게 전공분야-사회분야의 두 유형으로 나뉘는 경우야 생소하다기보단 외려 일반적인 경우라 할 수는 있지만, 진중권의 경우는 다른 저자에 비해 그 편차가 굉장히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심지어 각 유형의 책은 문체나 분위기마저 다르다) 그런 그가 한국인의 몸을 화두로 그 '구성된' 층위를 파악해 본다기에 그 주제부터가 그의 미학적 식견과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독설(?!)이 융화되어 표출될 것 같아서 굉장히 기대하고 읽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다소 실망이었다. 그리고 '그 부분'의 원인은 본서를 읽으면서 어렴풋이 알 수 있었다.

'압축근대'를 지내온 한국 사회에는 그 엄청난 변화의 속도로 인하여 전근대-근대-탈근대의 모든 성격이 복마전처럼 얽히고 섥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저자도 그러한 세간의 평가에 동의하는지 크게 우리사회의 근대성-전근대성-탈근대성이 어떤식으로 표출되어 우리의 몸에 담지되었는지를 논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설명이-진중권에 대한 개인적인 기대에 비하자면-너무 진부하다는 데에 있다. 우리 사회의 전근대나 근대성에 대한 비판은 주로 그가 오랜기간(?) 유학했던 독일에 비교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과연 얼마나 현상학적(?!)인가 하는 물음은 뒤로 하더라도 도대체 '한국이 일본을 죽어도 따라잡지 못하는 몇가지 이유'운운하는 책들과 차별점이 뭐일까 의문스러울 지경에 이른다. 게다가 저자가 서문에서 조심한다고 하긴 했지만, 이런 식의 비판이 한국인 일반을 전체적으로 싸잡아 이야기 하느라 왜곡아닌 왜곡을 일삼게 되는 민족주의적 담론과 얼마나 차이가 있겠느냐는 생각마저 들기까지 하는데, 이는 많은 부분 저자가 어떠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우리의 전근대-근대성을 비판하는지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이러한 서술행태로 인해 개인적으로는 많은 부분, 리얼함과 위험함 사이에서 혼란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그나마 우리사회의 굉장히 전위적이지만 우습고 가벼운 탈근대적 흐름을 분석하는 곳에서 진중권의 능력이 빛을 발하기 시작하는데-에필로그를 감안하지 않은 상태에서-개인적으로 느낀바, 차라리 이 부분만 가지고 책한권을 썼다면 어땠을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였다. 문자문화와 구술문화를 설명하며 새로운 시대의 대안으로 문자문화적 미덕을 갖춘 구술문화로의 발전을 이야기하는 모습은 다소 갈팡질팡하는 듯 싶었지만 그 부분을 제외하자면 각종 예술작품을 재미있게 비평하며 오늘, 우리사회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의 서술은 굉장히 신선하고 날카롭게 읽혔다. 문자문화의 쇄퇴를 바라보며 중세와 탈근대가 합류하는 아이러니를 논하고 인쇄매체마저 자신의 논조를 천연덕스럽게 바꾸는 원인을 구술문화에서 탈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지적하며 발터벤야민으로 키치스런 예식장 건물을 감상하고 보드리야르로 짝퉁에 대한 사회비평을 하는 그의 서술은, 독자로 하여금 역시 진중권이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만든다.

그리고 짧은 에필로그. 비로소 여기에서야 독자는 저자가 왜 진부함이나 위험함을 무릅쓰고 우리 몸의 전근대나 근대적 질곡(?)을 하나하나 까발렸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사실 전근대나 근대성의 덕목이 모조리 악덕으로만 채워진 것도, 혹은 꼭 미덕보다 악덕이 더 많은 것도 아니다. 서양의 전근대적 귀족문화는 이후의 서양의 근대를 구성하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으며, 근대성이 과연 총체적으로 '악'이었는가하는 점은 아직도 학문적으로 많은 논란이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해서 어찌보면 중요한 것은 전근대든 근대든 탈근대든 그것을 '총체적으로' 받아들이거나 배격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접합하느냐에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저자의 주장도 바로 그 부분에 맞추어져 있고, 아울러 이러한 전근대-근대-탈근대에 관한 왜곡된 접합의 결과물로서 오늘날 우리의 '몸'은 저자의 전공분야와 사회분야에 대한 이중적인 서술의 이유에 대한 어떤 단초를 제공해 주는 것 같기도 하다.

전근대적 양반문화로부터 근대성의 미덕이 될법한 부분보다는 권위주의만을 받아들이고, 근대성으로부터도 그 합리성보다는 전투성이나 속도성만 받아들여 표피적인 탈근대 문화 속으로 질주하고 있는 우리의 그로테스크한 몸은, 사실 고도의 미학적인 분석이 무색할 정도로 그 난맥상을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다. 외려 오늘 여기의 이 꼬이고 꼬인 난국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리 첨단(?)이론을 들이대기 보다는 기본부터 차근차근 생각해 나가는 것이 사회적으로 더욱 절실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해서 진중권이라는 미학자가 이런 식으로 소비되는 것이 어찌보면 굉장히 유감스런 일일지도 모르겠지만,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그런식의 소비가 지금, 여기에서는 더더욱 절실하다 아니할 수 없겠다. 사실 본서는 오늘의 문명의 질곡을 뛰어넘어 '새로운 세상'을 도모하는 소위 '좌파'가 읽기엔 굉장히 석연찮은 구석이 있는 책이기도 하다. 저자는 줄곳 미래는 상상력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이고 새로운 산업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몸을 이야기한다. 즉 의도적으로 저자는 자본주의 '이후'까지는 염두에 두지 않고 서술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자본주의 그 '이후'를 논하기 전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 이후를 논할 수 있는 상식, 그리고 그것이 담지된 신체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해서 본서는 자유주의자나 보수주의자(합해서 소위 '우파')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고 받아들여져야 하는 내용, 그리고 그들의 전환을 위한 '각성'이 아닌, 지금 상태를 기초로 한 '발전'을 도모하려는 듯한 제언으로 가득 차 있다. 극우파로 이루어진 세상이 악몽이듯, 급진파로 가득한 세상도 결코 권장할만한 사회는 아니다. 때문에 사회는 언제나 건전한 우파, 건전한 좌파를 요구한다. 진정 자기'계'발을 원하는 우파라면, 그리하여 우리사회를 좀 더 아름답게 가꾸길 원하는 우파라면, 괜한 자기계발서적들고 헛짓하지 말고 진중권을 읽기를 진심으로 권한다. 어쩌면 '사회비평가'로서의 진중권이야말로, 우리 사회의 첨단을 걷는 자유주의자일지도 모르니깐.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k_com 2008-08-15 23:09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진중권이 처음 대중적으로 알려진 게 미학오디세이이긴 해도 실제로는 악플러로 데뷔(?)를 한 셈이니 저도 사회비평가 자유주의자 진중권이 더 좋습니다. 워낙 화끈하시니 보는 사람 맘이 조마조마하여 더 애착도 생기고. 실제로도 학교 강의실에서 만큼은 혹시나 기대하고 들어간 청강생이라면 몸이 근지러워질 정도로 조용조용하다고 전해지더군요...^^ 개인적으론 좋아하는 외모라 보고 싶긴 한데....////

率路 2008-08-19 00:16   좋아요 0 | URL
전 운문체로 글쓰는 사람을 보면 일종의 경외(?!)같은걸 느끼는터라(뭐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가 너~무 만연체라 그런것도 있구요.)미학자 진중권을 조금 더 좋아하긴 해요. 근데 진중권씨가 참 대단한게, 표현은 화끈해도 개별 행동을 보면 굉장히 신중한것같아서 말이죠.^^;;

ps.좋아하는 외모라...미감이 독특하시....(앗, 진중권씨한텐 죄송ㅋ)

노이에자이트 2008-08-24 00:24   좋아요 0 | URL
진중권 씨 보면 윤종신 씨가 생각나서...

率路 2008-08-24 17:25   좋아요 0 | URL
누가 더 기분나빠할까, 생각해보니

정말 둘다 비슷하게 기분나빠할 것 같아요ㅋㅎ

노이에자이트 2008-08-24 20:38   좋아요 0 | URL
노래는 윤종신 씨가 월등하고 입담은 비슷비슷할 거 같아요.

率路 2008-08-31 19:47   좋아요 0 | URL
사견입니다만, 방송인으로써 윤종신씨는 지금이 전성기이신듯ㅋㅎ

가시장미 2008-10-15 01:14   좋아요 0 | URL
아.. 읽고 싶은 책이였는데- 리뷰를 보니, 너무 어려울 것 같아서 망설여집니다. -_ㅠ
책 내용이 어려운 건가요? 님의 리뷰가 어려운 건가요? 제가 무식한 걸까요?
셋 중에 하나일 듯 합니다만 ㅋㅋ 확인해보기 위해 지릅니다. 땡스 투~ ^^

率路 2008-10-15 11:33   좋아요 0 | URL
어렵게 느껴지셨다면 제가 리뷰를 잘못썼나봐요.ㅠㅠ
어려운 책은 아니거든요. 사실 좀 진부하다 싶은 부분마저 있을지경ㅋ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