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담은 사계절 밥상 - 녹색연합이 추천하는 친환경요리 스페셜
녹색연합 엮음 / 북센스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내가 요리책을 사다니! ㅎㅎ
주부 13년차에 새삼 요리책이 뭐 필요하랴만은,
맨날 똑같은 반찬 말고, 남들은 뭐해먹고 사나 사실 궁금해지기도 했다.
타성에 젖은 그렇고 그런 반찬, 재빠른 일품요리 말고,
몸에 좋고, 먹으면 행복해지는 그런 반찬은 뭐 없을까 하는 생각에
요리책 코너를 뒤적였다.

원래 계획은 365식단 같은 책을 하나 사서
남들이 짜놓은 식단표에 따라서 한 번 먹어볼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그런 책들은 한참 구닥다리 책들밖에 없었다.
요리도 유행이 바뀌는지라, 아무래도 좀 웰빙과 거리가 먼
느끼하고 손 많이 가는 음식이 강세인 책은 사실 반갑지 않다.

알라딘을 뒤지면서, 남들이 많이 추천한 요리책을 뒤적이다보니,
눈에 확 띄는 책이 발견되었다!
지난번 서점 시찰 나갔을때는 왜 이걸 못봤지???

지금 구입한 이 책과 이보다 먼저 나왔다는 '자연을 담은 소박한 밥상'
요 두권이 함께 눈길을 끄는데
잘 알지도 못하면서 두권을 덥썩 사기는 좀 그렇고
요걸 할까, 조걸 할까? 저울질을 하다가, '사계절' 이라는 제목에 끌려서 이 책을 주문했다.
사실은 먼저 나온 책이, 더 쉽고 빠르게 만드는 요리법이라는 유혹도 있었지만
계절별 적합한 음식을 챙겨먹고 싶은 마음이 더 강했다.

그리고, 오늘 책이 도착했다.
내용은? ^^ 그리 어려운 요리책은 물론 아니었다.
우리와 친근한 여러가지 반찬들이 있었는데,
정말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였다.

아이가 보면서 침을 꿀꺽 거리는 버섯밥이 '가을' 요리에 나와있고,
내가 좋아하는 정말 소박한 반찬들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오늘 저녁반찬은 엊그제 사다놓은 닭봉때문에, 왕간단 닭요리 였는데,
(책이 도착한 시점이 닭을 막 불 위에 올려놓는 참이었다! 절묘한 타이밍!)
닭과 함께 먹으면 좋은 '양배추 볶음'이 책에서 눈에 띄는 바람에
초스피드로 양배추를 채썰어 볶았더니 아이가 아주 잘 먹었다.

근사한 요리를 기대한다면 실망할지도 모르지만,
먹으면서 행복한 소박한 음식을 기대한다면 괜찮은 요리책이라고 보인다.

단! 간장 담그기, 된장 담그기.... 같은 것들이 간단한 요리법으로 설명되어있는 것을 보니
맥없는 웃음이 실실 흘러나왔다.
그것이 어디 요리법으로 되는 것인가!! 오랜 노하우가 쌓여야만 맛이 나는 것들이지...

아무튼, 오래된 주부이든 젊은 주부이든, 독신이라도!
먹으면 건강해질 친근하고 다정한 반찬을 위해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난 책읽기가 좋아
윌리엄 재스퍼슨 글, 척 에카르트 그림, 이은주 옮김 / 비룡소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라도 숲은 날때부터 숲이었다... 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아니, 사실은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숲이 있는가보다.. 하는 생각으로 숲을 바라보게 되지요.

하지만 이 책을 읽고나면, 자연숲이라는 말 자체에 설레임이 담겨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학교 권장도서로 나와서 아이가 이 책을 읽었었고,
다시 얼마전 광릉 수목원을 방문하기 위해서, 선행학습으로 이 책을 읽혔습니다.

아마 곧 떠날 소풍에 대한 기대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아이는 훨씬 더 꼼꼼히 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는 광릉수목원이 자연숲이냐고 흥분해서 묻더군요.
당시만 해도 잘 모르던 나는 떨떠름하게 대답을 했습니다.
(수목원이 나라에서 꾸민 숲인줄 알았으니 얼마나 무지했는지 모릅니다!)

수목원에 갔더니 안내해주시는 선생님께서, 광릉숲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어떤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지 설명을 해주시는데
바로 이 책에 나온 것과 거의 비슷한 이야기였습니다.
아이는 정말 신나는 순간이었지요.

안그래도 환경보호에 관심이 많은 아이였지만
이 책을 읽고나서는 생태계 보호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되었고
작은 것 하나도 예사롭게 보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야기를 하듯 차근차근 숲의 탄생을 설명해주는 이 책은 당연히 강력추천이고요,
이왕이면, 독서 후, 수목원이나 자연숲을 데리고 가준다면
그 효과가 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책이 충분히 이해된 초등학생이라면, 그 다음엔 '광릉숲 이야기'를 읽어보세요~
분명히 좋아할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릉숲 이야기 - 숲 생태 관찰 황금돋보기 4
박효섭 지음 / 다른세상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얼마전 날씨가 아주 좋던 날, 온 식구가 월차를 내고는
아이를 데리고 광릉 수목원에 다녀왔습니다.

사실 지금 3학년에서 다루고 있는 나무와 식물에 대한 것을 실제로 보게 하기 위함이
더 큰 목적이었지만, 아주 한가로운 휴가를 행복하게 즐기고 왔습니다.

그곳에 갔더니, 친절하신 선생님이 안내를 해주면서 설명을 해주시더군요.
풀 하나, 나무 하나까지 정성껏 한시간 가량의 안내를 들으면서
우리 식구들은 많은 공부를 하였답니다.

숲에 가기 전에  비룡소에서 나온 "숲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라는 책을
미리 읽고 간 것이 큰 도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학습지에서 나온 숲 관련 소책자도 읽고 갔고요.
책에서 본 나무를 찾느라 바쁜 아이는 행복해보였습니다.

그리고나서 얼마 뒤, 서점에서 우연히 이 책을 발견했습니다.
뒤적여 보고는, 바로 와서 주문을 했습니다.

미리 이 책을 읽고 갔더라면 더 좋았을걸 하는 아쉬움도 물론 있었지만
이미 다녀온 후에라도 꼭 읽어야할 책이라고 보입니다.

그곳 선생님이 들려주시던 이야기들이 모두 들어있고요
보고 온 내용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어서 아주 좋았습니다.

더구나 한 번 다녀온 이후로 광릉숲 팬이 된 아이는
계절마다 빼먹지 않고 꼭 다시 가겠다는 각오를 다졌는데,
이 책에는 그 계절별 볼거리가 잘 나와있어서
훌륭한 가이드북이 될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수목원에 가실 분,
수목원에 다녀 오신 분,
그리고 숲과 나무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누구라도 흥이있게 읽으실 수 있을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래는 왜 바다로 갔을까
과학아이 글, 엄영신.윤정주 그림 / 창비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네 아이들(3학년)을 모아놓고, 함께 책 읽고 이야기하는 모임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짬짬이 발표력 기르기 위한 훈련을 하는데,
다음주에는 '내가 읽은 책'을 주제로 해서 준비를 하기로 했어요.

읽은 책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
그것에 대해서 친구들에게 알려주는 시간을 갖자는 것이죠.
꼭 독후감 형식으로 발표하지 않아도 되고,
그냥 책을 읽은 다음 하고 싶은 말들을 하도록 하라고 했습니다.

우리 아이가 선택한 책이 바로 이책, '고래는 왜 바다로 갔을까?'라는 책입니다.
며칠동안 읽고 또 읽더니, 원고를 썼다며 봐달라고 가지고 왔습니다.

물론 내용은 수정할 곳이 여러곳 있었지요.
"여기는 네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다 나와 있지 않잖아. 무슨 이야기를 하는거야?" 했더니만
금세 눈물이 글썽글썽하더니 말을 못하네요.

혹시 내가 꾸중하는 것으로 느껴져서 그런가 하고 봤더니 그게 아니더군요.
"고래가... 너무 불쌍해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흑흑"
품속으로 파고 들더니 눈물을 뚝뚝 흘립니다.

"엄마... 고래를 돕기엔 제가 너무 작은거 같아요."

상업적 고래사냥을 하는 이들, 환경파괴... 이런 큰 힘들과 싸워 이겨야한다는 사실이
시작도 하기 전부터 버겁고 안타까운 모양이었습니다.

아이의 안타까운 마음이 저에게도 전해져 마음이 짠 하더군요.
그래서, "고래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는지 인터넷에 찾아볼까?" 했더니만
열심히 뒤지고 읽고 하면서 원고를 마무리 했습니다.

이 책을 읽는 많은 아이들이 이같은 마음을 가지고
고래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까지 관심을 가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리틀 아인슈타인을 이렇게 키웠다
진경혜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참 자극적이다.
이 책이 나온 것이 2001년인데, 그 당시 떠들썩 했던 이 아이의 이야기를 신문에서 보면서
나는 이 자극적인 제목의 책을 전혀 읽고 싶지 않았다.
아이를 천재로 키우고 싶다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기때문이었고,
그냥.. 요란한 제목 뒤에 뭐가 있으랴 싶은 생각 때문이었다.
내 넘겨짚기는 그러나 완전 실패였다. -_-;;
그당시에 읽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으니 말이다.

그렇게 내키지 않던 책을 구하려고 애를 썼던 이유는
이 책이 홈스쿨링에 대해 다루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기때문이었다.
불과 몇달전만해도 이 책을 구하기가 몹시 힘들었다.
아마 책도 유행이 있기때문이었으리라.
그래서 어렵사리 책을 구해 읽었고,
책이 좋아 남들에게 권하고 싶은 생각도 있었지만
리뷰를 쓸 생각을 안했다, 어짜피 구할 수가 없으니까...

그리고 얼마전, 꼬마 아인슈타인의 동생이 또 어린 나이에 대학에 갔다는 소식이
신문에 나면서, 동생의 이야기도 곧 책으로 나온다고 써있는 것을 보고 나는 피식 웃었다.
아마, 이 책이 다시 서점에 돌아다니겠구나... 하고.
그리고 알라딘에 와보니, 예상이 적중해서 주간 베스트 42위에 올라있네.^^

사실상 내가 이 책에서 얻으려고 했던 홈스쿨링 정보는 그다지 구하지 못했다.
어짜피 우리 아이가 천재는 아니니까...
하지만, 내가 감동깊게 읽은 부분은,
부모에게서 느껴지는 열정과 사랑, 노력이었다.

아이를 낳아서, 얼마나 책임감있고 성실하게 아이를 대했는지,
얼마나 노력하며 키웠는지...
그 한결같음과 아이 존중에 대해 정말 경의를 표한다.

그렇게 한다고 모든 아이가 천재가 되지는 물론 않겠지만,
하루에 20권이 책을 읽어주는 부모 밑에서, 어리석은 아이는 절대 나올 수 없을 것이다.
그게 어찌 쉬운 일이냐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사실 요즘 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어릴때부터, 한글을 일찍 떼게 하고, 영어를 공부시키고,
각종 영재교육에 열을 올리는 그 노력을 조금만 돌려서
아이에게 다정하게 책을 읽어주고, 아이와 함께 느끼고 함께 체험하려 노력한다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책은 아이를 천재로 키우기 위한 비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사랑하고 존중하고 느끼며 키우라는 말을 해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나 어린 아이를 둔 부모에게 강력 추천한다!
꼭 한 번 읽어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