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력과 상스러움 - 진중권의 엑스 리브리스
진중권 지음 / 푸른숲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한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라는 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p.290
진중권의 거칠고 날카로운 세상보기. 글에서 날을 보았다고 하면 과장일까? 맞다, 맞아...라고 중얼거리며 책장을 넘겼으나 가슴 아픈것은 이렇게 지식인들에게 반성을 촉구하는 지식인은 손으로 꼽을 정도라는 것. 여전히 많은 '지식인'들이 조중동 신문 근처를 어슬렁 거리고 있다. 자신의 책을 반납하겠다는 독자에게 '너 전라도 사람이지?'라고 물어보는 대책없는 이문열 같은 이가 이 나라 주류 지식인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할 뿐.
그의 글은 날카롭고, 때론 너무 배배 꼬아 말하는거 아닌가 싶도록 신랄하다. 정말 맵고 짜고 쓰구나. 하지만 다들 젠체하며 글쓰는 마당에, 이런 글을 읽는건 상쾌하다. 우아떨면서 가르치려 드는건 딱 질색이거든. 이런 문체 맘에 든다. (내가 비뚤어진 인간이라 그런건지도 모르지)
책갈피에 끄적인것을 그대로 옮긴다.
흔히 '자유=민주'라 생각하나 실은 양자는 서로 대립하는 개념이다. '자유'는 본질적으로 불평등을 함축한다. 예를 들어 시작에서 경쟁의 자유는 필연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낳게 된다. 그리하여 평등 없는 순수한 자유란 현실 속에선 결국 "다리 밑에서 잠잘 자유"를 의미하게 된다. 나아가 평등 없는 자유가 보수주의와 결합하여 정치적 자유마저 포기할 때 나치즘과 같은 또 하나의 '멋진 신세계'가 펼쳐진다. 한편, '민주'는 본질적으로 평등의 이념이다. 경제적 평등의 요구가 나아가 자유를 억누르며 관철 될 때 공산주의라는 극단이 성립한다. 우리가 '자유민주주의'라고 자유와 민주를 붙여서 말할 때, 이는 위에서 말한 극단을 피하기 위함이리라. 자유와 민주는 서로 보완해야 한다. 그리하여 이 두 요소가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다양한 저치적 스펙트럼을 만들어내야 한다. p.97
혼동하기 쉬운 개념. 화들짝 놀라다. 적어도 나란 인간이 신자유주의에 왜 반대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한다.
하지만 '공동체'라는 말 속에 든 반민주적 함의는 어떡하고? 가령 공동체는 동질성을 전제하고, 동질성은 이질적인 것의 배제를 의미하고, 배제는 강제를 내포하고, 강제는 인격적 혹은 비인격적 지배와 폭력을 전제하는 것이다. p.115
공동체 안에 있으면 이러기 쉽다. 소박하면서도 뭔가 미래지향적인 목표를 갖고 있다고 서로 위로와 격려를 건네면서 결국 경계밖에서 서성이는 사람들을 결국 끌어들이지 못하거나 밀어내기까지 했다. 그런 일들이 어찌 한 두번이었겠는가. 최근 '공동체'의 이 폐쇄적인 특성에 회의를 느끼고 있는 중이다. 뭐가 그리 별스럽다고, 뭐가 그리 특별하다고 그렇게 배타적인 자세가 되는가. 구성원의 밀도가 높아지는 대신 배타적이 되어야 하는 원칙에 동의를 하고는 있는건가?
우연히 어느 잡지에서 변산 생활공동체에서 애들을 가르치며 지내는 철학자 윤구병 씨의 인터뷰를 읽었다. "땅과 공동체를 살리려고 원시적으로 이 작업을 하는 건 언젠가 위기가 닥쳤을 때 우리가 놓는 징검다리를 통해 그 위기를 벗어나는 길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 내가 보기에는 이런게 "탈근대"다. "조상들의 삶에는 쓰레기가 전혀 없었다. 쓰레기가 일절 없는 삶..." 전통은 이렇게 계승하는 거다. 다 낡은 삼강오륜이나 붙잡고 늘어지는게 아니라. 이 탈근대의 실험을 위해 그는 교수직을 내던졌다고 한다. 이게 바로 "탈주"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일상적 어법으로 털어놓는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이론적으로도 이 교수 출신 촌 농부의 철학이 세련된 불란서제 소리보다 훨씬 더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118
미래를 준비한다는 것은 바로 이런것이겠지. 나는,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책상물림일 뿐인데....
유토피아적 공동체든, 생태공동체든, 소수공동체든, 이런 미시적 공동체의 건설이 거대 산업 사회의 문제를 극복하게 해 줄 거시적 대안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기존의 질서로부터 "탈주"를 꿈꾸며 모든 것을 동질화하는 동일성의 폭력에 저항하는 이 작은 움직임들은 결코 사소하게 취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장기적으로 이 거대한 산업사회를 지금보다 덜 폭력적인 형태로 바꾸는데 필요한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 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p.124
사소하진 않지만 대안이 될 수는 없을거란 말에 마음 상한다. 이 시스템에서 대안은 무엇일까?
다만 과거에는 폭력적이었던 것이 제도로 바뀌었을 때에는 더 이상 폭력으로 느껴지지 않고, 그것이 폭력에 대한 우리의 감정을 무디게 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싶을 뿐이다. p.150
나 역시 사형 반대.
남이 동성을 사랑하든, 이성을 사랑하든 내가 거기에 찬성하거나 반대해야 할 이유는 없다. 이런 것들은 '찬성'이나 '반대'라는 말이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맥락이 아니다. 그걸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찬반을 표하는 그 행위 자체가 해괴하고 괴상한 일이다. p.160
내말이! 왜 남의 사생활에 그리들 관심이 있는지.
한마디로 레드 콤플렉스는 빨갱이에 대한 공포감이 아니다. 외려 삘갱이 잡는 극성스런 반공 투사들에 대한 공포에 가깝다. 말하자면 언제라도 빨갱이로 몰려 죽을 수도 있다는 막연한 두려움, 그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강박적으로 시도 때도 없이 반공주의적 언행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p.198
색칠놀이 하는거 이제 그만 좀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