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 세계적인 대문호 도스토예프스키의 가장 속물적인 돈 이야기
석영중 지음 / 예담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석영중 -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돈이 지배하는 세상을 꿰뚫는 문학의 힘



책을 읽으면서 내가 듣는 수업 생각을 많이 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수업에서 들었던 염상섭 생각을 많이 했다. 염상섭의 <삼대>를 읽는 수업 시간이었다. 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삼대>를 고등학교 때 ‘외웠던’ 그대로 세대간의 갈등으로 읽고 있었다. 그러나 교수님은 그 빈약한(?) 논리를 단숨에 물리치고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세계를 그려낸 소설로 <삼대>를 다시 읽기 시작했다. 그 순간 받았던 충격이란. 마치 세계가 전혀 다른 논리로 다시 구성되는 것 같은, 그런 충격이었다. 그날 나는 <삼대>를 다시 읽었을 뿐만 아니라 급기야 역시 대학에 와서 좋다, 라는 결론까지 내리기에 이르렀다.

이 책,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역시 비슷한 체험을 하게 해 주었다. 나는 도스토예프스키를 좋아하여 내 책장 가장 손이 잘 닿는 곳에 늘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을 두고 찾아 읽지만 단 한 번도 이 소설의 진정한 모습에 대해 의심하거나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 없었다. 다만 벌어지는 살인사건이나 오고가는 논박들에 그저 재미있다고 휩쓸려가고 있었을 뿐이다.

누가 저 고고한 도스토예프스키, 세계의 위대한 작가 반열에 오른 늙은이가 그저 돈돈돈 노래를 부르는 나약한 인간일 뿐이었다고 생각이나 했을까. 물론 도스토예프스키는 톨스토이에 비하면 어쩐지 부실해 보이는 인간이긴 하다. 소설을 봐도 설교라고는 할 줄 모르고 매번 살인이니 치정이니 하는 사건들만 일어나니 말이다. 게다가 간질환자였다고도 하고. 그래도 역시 돈 노래를 부르는 위대한 작가는 상상하기 힘들다.

책을 보면, 도스토예프스키도 잘만 했으면 돈 노래를 부를 정도의 삶은 살지 않았어도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돈을 잘 몰랐기 때문이기도 하다. 비록 부모에게 물려받은 재산이 없었다 해도 약삭빠르게 근검절약하고 투자를 했더라면 그는 평생 가불인생을 이어갈 정도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돈을 좋아하되 돈을 다룰 줄 몰랐고, 결국 돈에 쫒기는 생활을 하며 돈의 정체에 대해 뼈저리게 느꼈다. 그리고 그것이 다시 그의 창작의 이유가 되었다. 그야말로 돈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것이 도스토예프스키인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돈을 뛰어넘는 문학의 위대함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그 아이러니함을 도스토예프스키의 실제 삶과 그의 작품을 하나하나 엮어가며 풀어내고 있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어떻게 돈과 관련을 맺었고 그것을 어떻게 작품 속에서 풀어내며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켰는지는 이 서평에 쓰지 않겠다. 그것은 책을 읽으면 될 일이다. 책은 어렵지도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다. 작품론으로 읽든지, 작가의 삶에 대한 전기로 읽든지 흠 잡을 구석이 없다. 심지어 자본주의 사회나 돈에 대한 성찰로 읽는다 해도 좋을 지경이다. 이것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삶과 작품, 그리고 저자의 꼼꼼한 연구와 막힘없는 글 솜씨가 만들어낸, 근래 보기 드문 수작이다.

그렇다면 나는 이 서평에 무슨 글을 써야 할까. 책의 저자가 너무나 잘 설명해 놓은 말을 반복하는 것은 실례일 테니까. 그렇다면 나는 내가 좋아하는 도스토예프스키를 조금만 더 이야기하려 한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도스토예프스키는 돈의 굴레에서 평생을 허덕였다. 그러나 동시에 돈을 뛰어넘는 위대한 문학을 남겼다. 그것은 그가 (자의든 타이든) 이 자본주의 사회를 움직이는 제1원칙인 돈의 세계로 온 몸을 바쳐 뛰어들었기 때문이고, 그를 기꺼이 삶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더해 그 와중에도 작가다운 날카로운 혜안을 잊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그런 면과 비교하다보면 근엄하기만 한 톨스토이는 어쩐지 요즘 시대를 잘 모르고 잔소리만 늘어놓는 팔자 좋은 노인처럼 보인다. 나는 그런 도스토예프스키의 치열함, 인간 안의 선과 악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시선을 좋아한다. 그것이 돈의 힘을 빌린 것이라고 하니, 더욱 위대한 작가를 우러러보게 만든다. 이 세상 사람들은 모두 돈을 가지고 살면서도 그에 대해 변명하기만 급급한데 이 작가는 그러질 않았으니까! 그런 솔직함이 그에게 이 불멸하는 명예를 가져다 준 것이 아닐까. 도스토예프스키는 인간이란 광산에서 금맥을 파냈다. 그리고 이 책의 저자는 그 금맥의 성분을 꼼꼼히 분석해 도스토예프스키가 어느 광산에 머물렀는지를 발견해냈다. 그것은, 이 사회의 가장 한 복판에 있는 광산이었다. 새삼 우리가 어디 살고 있는지를 다시 깨닫는다. 그걸 깨닫게 해준 도스토예프스키도, 이 책의 저자도 모두 대단한 사람이라고,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