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 외롭구나 - 김형태의 청춘 카운슬링
김형태 지음 / 예담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 자신도 사실 누군가를 카운슬링을 할 처지는 못 되지만, 그래도 친구며 후배며 근근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달라 요청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마다 대부분은 그저 듣기만 하고 ‘음, 잘 되겠지’라는 무책임한 말로 마무리하지만, 가끔은 이렇게 말해주고 싶을 때도 있다. “너 이미 답을 알고 있잖아.” 사실이 그렇다.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은 답을 이미 마음속에 담아두고 있기 마련이다. 가만 이야기를 듣다 보면 그 사람들은 ‘내가 너에게 하소연을 하고 있긴 하지만, 너에게 충고를 듣고 싶은 건 아니야’라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나의 침묵만으로 남의 엉클어진 마음을 푸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음을 기뻐하며 무조건 ‘네 말이 옳아’라고 말하곤 한다. 그렇게 보면 카운슬링이란 직업도 참 편한 거야, 라고 생각하면서.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결코 나처럼 태평하거나 적당히 게으른 상담가가 아니다. 그는 나보다 더 훌륭하여, 상담을 원하는 자들이 이미 답을 마음속에 품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답이 망하는 지름길이라는 사실조차 알고 있다. 그는 나약한 우리 젊은이들에게 무서운 진실을 날린다. ‘죽을 정도로 노력하거나 아님 계속 투덜거리면서 그렇게 살든가 다 네 선택이야’라고. 누가 감히 우리 <깨어지기 쉬운 예민한 감수성의 청년들>에게 그런 말을 겁 없이 날릴 수 있겠는가? 상담을 원하는 자들은 사실 그만큼 고집이 센 자들이기도 하다. 그 사람들이 원하는 답이 아닌 너 비관적인, 그러나 사실은 진실인 그 답을 듣고 얼마나 분개할지 상상이나 되는가? 누군가의 인생을 그토록 잔인하게 ‘게으름과 멍청함’으로 요약하는 일이 사실 얼마나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인지 아는가? 하지만 저자는 해냈다. 그는 비겁함을 버리고 우리들에게 진실을 말한다. 그는 대중매체나 모범생 책들처럼 적당한 가식으로 입발린 말을 할 생각 따윈 전혀 없다. 냉혹하지만 한 마디도 틀림이 없는 진실을 적나라하게 까뒤집는다.
그가 말하는 진실은 불편하다. 어떤 이가 이렇게 물었다. ‘취직을 하고 싶은데 다들 제 디자인은 괜찮다고 하면서 나이가 많다는 둥 집이 멀다는 둥 취직을 시켜주지 않아요.’ 아마 나라면 ‘더 좋은 직장을 만나려고 그러는 걸 거예요.’라고 적당히 말했겠지만 저자는 냉정하다. ‘사원 집이 멀다는 걸 회사가 왜 걱정합니까? 정말 몰라서 묻는 거예요? 당신 디자인이 마음에 안 드는 겁니다. 디자인 공부를 더 하세요.’ 그는 우리가 정말 몰랐거나, 아니면 애써 모른 척 하려는 진실을 들이밀며 우리를 채찍질한다. 그러나 기분 나쁘지 않은 채찍질이다. 그러한 그의 말이 진심으로 우리를 걱정하여 나온 것이라는 걸 잘 아니까. 그는 우리를 남 취급하지 않는다. 그는 우리를 진정 자신의 후배로 생각하고, 세상의 냉혹함을 감추지 않고 말하며 우리를 단련시키고 절망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바른 길을 알려준다. 설령 그것이 충격적이라고 하여도. 그것은 한편으로 그가 우리를 믿는다는 반증이기에, 그가 내미는 독한 약, 입에 쓴 약을 싫어할 수 없는 것이다.
방황까지는 아니지만 게으르고 나태했으며 자만했던 나의 삶에도 그의 충고와, 그가 살아가는 지독하리만큼 열정적인 삶이 쓴 약이 되었다. 그것들을 삼키며 아이에서 어른이 되어가는 기분이 든다. 나는 작가를 만난 적이 없지만, 언젠가 그를 보면 다정하게 어깨에 손을 올리며 인사를 하고 싶어진다. 형, 이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