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전략

Casual Concept
전문적인 금융용어와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 수고를 사용자에게 지우지 않고,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개념으로 전달한다.

Minimum Features
이 기능 없이는 ‘절대’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지 다시 한 번생각한다. 기능이 늘어날수록 제품은 점점 어려워지고, 개선속도도 느려진다. 기능 추가는 목표 달성을 위한 최후의 선택이다.

Less Policy
단순한 제품의 시작은 단순한 정책이다. 수많은 정책과 조건으로 복잡해진 제품은 친절한 설명이나 깔끔한 UI로도 극복할 수 없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것’을 최소화한다. - P208

UX 원칙

One Thing per One Page
하나의 화면은 하나의 메시지만 표현한다. 한 화면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전달하지 않도록 지우고, 제외하고, 제거한다.

Tap & Scroll
핵심 플로우를 누르기(Tap)과 스크롤(Scroll)만으로 구성한다.
Easy to Answer사용자가 마주치는 모든 질문에 3초 안에 대답할 수 있도록한다. 기억하기 힘든 정보는 알아서 찾아준다. - P209

Value First, Cost Later
사용자에게 제품의 가치를 먼저 전달한다. 정보를 입력하는등 비용을 부과하는 행동은 그다음의 일이다.

No Ads Patterns
광고가 아닌 기능으로 소구한다. 광고 스타일을 사용하지 않을 때 오히려 사용자가 집중하기 쉽다.

Context-based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맥락을 고려해 플로우를 만든다.
맥락 없이 이어지는 플로우는 사용자의 이탈을 부른다.

No More Loading
사용자를 기다리게 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정책, UX 플로우,
새로운 기술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한다.
Sleek Experience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끈한 경험을 설계한다. 모든 시선과 손짓에 어색함이 없도록 배려한다.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 대기업 문화의 단점을 ‘관료적이다‘ ‘부품이 된다‘고 뭉뚱그려 표현하는데, 넷플릭스는 명확하게 문제를 정의하고 있어 무릎을 탁 치게 만드네요. 예를 들면 조직이 커지면서 복잡도가 올라가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규정을 많이 만든다는 것이죠. 그러면기막힌 인재들은 떠나가고요. 능력자들은 규제하지 않아도 스스로열심히 일하고, 문제가 일어나도 쉽게 회복합니다. 따라서 굳이 많은 규정을 만들 필요가 없죠. 조직에서 관리해야 할 가장 주요한자원은 비용도 근태도 아닌 ‘열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토스팀의 구조와 문화, 제도는 모든 구성원을 뛰어난 역량과높은 책임의식을 가진 어른으로 대우한다는 기본 전제에서 시작했다. 이러한 대원칙은 토스팀이 5명에서 2000명에 이르는 큰 조직이되어가는 동안 단 한 번도 흔들리지 않았다. - P95

적(敵)이 없는 나이스가이는 어떤 것도 스스로 결정하는 법이 없는 무능한 사람이었다. 판을 흔들어 무언가를 바꿔보려는 혁신가는 적이 많았다. 김유리는 욕먹으면 먹을수록 날카롭고 단단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쪽이었다. 거칠고 독단적이기로 세상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울 스티브 잡스의 호랑이 같은 눈빛을 김유리는 좋아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들은 공감 능력이 뛰어나니까." 나는 이 말이 무섭다. 공감과 이해의 짐을 지울 때 밑밥 까는 말 같기 때문이다. 남자가 공감하려 들지 않으면 진화에 따른 유전자 탓이지만 여자가 그렇지 못하면 ‘비정상‘이다. - P45

"딸은 애교도 많고 공감도 잘하고 노후에 부모도 잘돌본다." 딸을 향한 상찬같이 들리는데 불편하다. 나는이런 ‘딸바보‘들이 무섭다. 1950년대생인 우리 엄마가평생 감내해야 했던 "큰딸은 살림 밑천"이라는 말의 다른 버전 같다. 딸을 인간이 아니라 기능으로 환원한다는점에서 그렇다. - P46

프롬은 인류가 ‘남성의 무장해제‘ 방향으로 진화한 까닭이 여성의 성적 자율성이 커질수록 영아 생존률이나 개체군의 성장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진화심리학은 남성적 시선을 적응으로 착각한 나머지, 성차별적 편향을 인간의 진화생물학에 투사해버리고 만다"며 "현대여성들이 과거에 진화를 통해 얻은 성적 자율성을 완전히 향유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주범은 가부장제라는문화의 진화였다"라고 썼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가 들수록, 삶이 만만치 않다는 걸 절감할수록, 실은 내가 그리 대단한 존재가아니라는 걸 깨달을수록 사랑은 연민을 닮아간다. 자신의 약함을 절감할수록 연민의 폭은 넓어진다. 그런 연민은 다정하고 평등하다. 그 다정함이 나를 구원할 거다. - P13

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은 《혐오와 수치심》에서 정신분석·문학 등을 몽땅 동원해 이 두 감정의 뿌리를 짚는다. 오염·전염을 떠올리게 하는 오줌, 똥, 콧물, 끈적끈적한 체액은 원형적 혐오 대상이다. 이 이미지들은 비약을 거듭한다. 인간이면 가질 수밖에 없는 동물성과 유한성에 대한 두려움을 타인에게 투사하면서 혐오는 자란다. 승자만 지배하는 환경에서는 더 잘 자란다. 자신 안에서 지워버리고 싶은 것을 타자에게 덮어씌우고 자기에게는 없는 척한다. 이상적인 남성성에 대한 환호는 여성혐오로 완성된다. 이상적인 몸은 추한 몸이 없으면 있을 수 없다. 인종주의, 동성애에 대한 거부의 근간에도이런 투사가 똬리를 틀고 있다. 누스바움은 이를 동물과 인간 사이 ‘완충지대’를 만들려는 욕망이라고 해석한다. -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