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공감 능력이 뛰어나니까." 나는 이 말이 무섭다. 공감과 이해의 짐을 지울 때 밑밥 까는 말 같기 때문이다. 남자가 공감하려 들지 않으면 진화에 따른 유전자 탓이지만 여자가 그렇지 못하면 ‘비정상‘이다. - P45

"딸은 애교도 많고 공감도 잘하고 노후에 부모도 잘돌본다." 딸을 향한 상찬같이 들리는데 불편하다. 나는이런 ‘딸바보‘들이 무섭다. 1950년대생인 우리 엄마가평생 감내해야 했던 "큰딸은 살림 밑천"이라는 말의 다른 버전 같다. 딸을 인간이 아니라 기능으로 환원한다는점에서 그렇다. - P46

프롬은 인류가 ‘남성의 무장해제‘ 방향으로 진화한 까닭이 여성의 성적 자율성이 커질수록 영아 생존률이나 개체군의 성장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진화심리학은 남성적 시선을 적응으로 착각한 나머지, 성차별적 편향을 인간의 진화생물학에 투사해버리고 만다"며 "현대여성들이 과거에 진화를 통해 얻은 성적 자율성을 완전히 향유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주범은 가부장제라는문화의 진화였다"라고 썼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