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메인에 걸리면 어떤 기분일까?


한 때 알라딘 서재 방문자가 하루에 2-30명에 그칠 때가 있었다. 찾아오는 사람이 너무 적어 이걸 계속 해야 하나 싶은 마음까지 들었다. 난 역시 즉각적인 피트백이 없으며 쉽게 포기하는 타입인 듯 하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했다. 어짜피 책은 사양하고, 책을 산 다음 서평과 생각들을 정리한 필요는 있으니 말이다. 그렇게 시작한 알라딘 글쓰기기가 3년째 서재의 달인이 되었고, 가끔씩 알라딘 메인 화면에도 글이 노출 된다. 이럴 때 아이들이 쓰는 말, '대박!'


일단 좋다. 아주 좋다. 그래도 못난 내 글을 어느 정도 인정해 준다는 말이 아닌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별로 좋은 글은 아니지만 인정 받았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아 진다. 


또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게 칭찬의 힘이 아니고 무엇인가. 잘하는 놈은 더 잘하게 된다는 말도 된다. 주마가편은 그냥 생긴게 아니다. 







오늘도 사고 싶은 책을 몇 권 골라 보았다. 올 해는 고전 소설을 중심으로 읽을 참이다. 쥘 베른이 소설은 참 재미있고, 역동적이다.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라는 명예가 손색이 없다. 

















쥘 베른의 소설을 보면 대체로 상상과 모험에 관련된 이야기다. 정말 잘 알려진 80일간의 세계일주는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새로운 신대륙에 대한 상상력은 당시의 식민지 개척에대한 제국들의 이미지와 닮아 있다. 새로운 미지의 세계를 정복하려는 영국의 노력이 그의 소설 배경에 스며 있는 것이다. 프랑스인 인데도 소설의 풍경이 영국이 산업혁명 후기 느낌이 강하다. 


그는 성인들을 위한 소설이 아닌 어린 아이들을 위한 책을 썼다. 교육에 미래가 달려 있다는 생각을 진즉에 한 것이다. 에첼이란 출판업자는 쥘베른이 소설을 읽고 아이들 용으로 수정하여 출판했다. 출판할 때마다 소위 말하는 '대박!' 행진이 이어졌다. 아직도 그의 소설은 어린 아이들이 상상 속을 헤집고 다닌다. 


지금까지 출간된 쥘 베른의 소설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



지구 속 여행(1864) -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

달 세계 여행(1865), 달나라 일주(1869)

해저 2만리(1869)

기구를 타고 5주일(1863)

20세기 파리(1863)(1994)[2]

그랜트 선장의 아이들(1867-1868)

80일간의 세계일주(1873)

챈슬러 호(1874) 신비의 섬(1874)

황제의 밀사(1876)

인도 왕비의 유산(1879)

마티아스 산도르프(1885)

정복자 로뷔르(1886)

15소년 표류기(1888)

카르파티아의 성(1892)

깃발을 바라보며(1896)

세계의 지배자(19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