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의 가능성


오늘 그의 책을 검색해 보기 전까지 처음인줄 알았다. 순진한 것인지 잘못된 독서를 하는 것인지 분간하기 쉽지 않다. 그러니까 어젯밤 10:10분에 며칠 동안 띄엄띄엄 읽던 알랭 드 보통의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를 모두 읽었다. 그리고 흥분하여 이렇게 적었다. "오늘 처음 그의 책을 읽었다. 앞으로 이 분의 책을 더 많이 읽을 참이다!"

 

여기서 더 이상 추호의 의심도 일어나지 않았던 이유는 이 책의 뒷 표지 내지에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소개했는데 [여행의 기술]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행복의 건축]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공항에서 일주일을] [프루스트가 우리의 삶을 바꾸는 방법들]이 전부다. 그리고 오늘 이 페이퍼를 쓰기 위해 그의 책을 검색했을 턱하니 전에 읽었던 책 이 눈이 들어온다. [여행의 기술]……. 아 이 책도 보통의 책이었어? 보통이 아니네. 이렇게 난 순진하다. 순진함은 줄곧 무지와 연결되고 어리석음과 바보로 오해되기도 하지만 영락없는 바보다.

















보통은 무신론자다! 나는 지독한 개신교도다! 그럼에도 난 그에게서 친근함을 느꼈고, 그의 무모해 보이는 간섭과 타협이 결코 싫지 않았다. 그는 은근히 종교의 무용성을 주장하면서도 필요성을 역설한다. 물론 그의 필요에 따라 골라 먹는 것이 기분 나쁘지만. 이 책을 겉으론 종교에게서 얻을 것은 얻고 배타적 감정으로 배격하지 말자는 이야기다. 목욕물을 버리려다 아이까지 버려서는 안 된다는 말처럼.

 

그는 인간을 잘 알고 있다.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사유가 어디서부터 온 것인지 모호하다. 아직 그의 이력과 매력을 모른다. 다만 유명한 프랑스 작가일 뿐이라는 것 외에는. 프랑스는 곧 합리주의 계몽주의의 발원지가 아니던가. 프랑스 혁명을 통해 종교를 타파하고 인간과 상식이 통하는 세상을 만들려 했던 나라다. 사회주의 국가는 아니면서도 그런 분위기가 짙은 곳이다. 내가 좋아하는 많은 학자들이 대부분 프랑스 출신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보통의 주장은 낯설지 않고 어디선가 본 데자뷰현상이 일어난다.


배설하지 인간은 온전하게 살 수 없다. 겉으로 드러난 멋과 품위, 안정과 위엄은 모두 골방에서의 배설이 있는 다음에 주어진 보너스다. 틀에 갇힌 인간은 정신 이상자가 될 것이 분명하다. 카페가 유난히 번창하고 선술집이 지독하게 사랑 받는 이유는 배설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쾌락과 기쁨, 더러운 욕망에 사로잡힌 자신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 보통은 이러한 배설적 의미로서 종교가 멋지게 해냈다고 칭찬한다. 그러고 보면 개신교의 통성으로 기도하는 것이나 카톨릭의 고해성사 등은 은밀한 욕망을 드러낸 시간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우리가 이끌어내야 할 교훈은 이렇다. 만약 우리가 원활하게 기능하는 공동체를 원한다면, 우리의 본성에 관해서 순진한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신 우리의 파괴적이고 반사회적 감정의 깊이를 완전히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우리는 혼돈을 존중해야 한다."(71-72쪽)


그의 주장에 충분히 동의 한다. 너무 과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우리는 배설하고 쏟아 내야 한다. 배설은 인간의 연약과 악함을 동시에 드러내 준다. 그러나 본성이 그렇다 하더라도 인간에게 성스러워지려는 기대가 있으니 이것또한 존중 받아야 한다. 

















그의 매력은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것을 만들고 싶은 것이다. 즉 인간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말자는 말이다. 인간은 닮았다. 흑인이든 동양인이든 매부리코든 납작코든 인간이라면 공유적 속성이 많다는 점을 든다. 우울, 슬픔, 이별, 사랑, 감동, 감사, 기쁨 이러한 단어들은 모든 인류가 공유할 수 있다. 아니 공유 된다. 보통은 이러한 단어를 적절하게 분석하고 배열하여 멋진 이야기로 만들어 냈다. 이것이 극치가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는 아닐까. 


특히 치유를 위한 순례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남겼다. 어느 지역에 어떤 숭배는 치유의 기적?이 일어나고 어떤 곳의 숭배신은 지혜를 주고, 어떤 곳의 신은 결혼도 시켜 준다. 낯설지 않다. 우리도 그랬으니. 땅신, 산신, 나무 신.. 어머님이 장독대에서 빌었던 탓에 아버지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믿기지는 않지만 간절한 소망을 가진 인간의 모습은 표현하는 방법 만 다를 뿐 속내는 다 같다. 그래서 보통의 주장이 싫지가 않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연민과 애착을 버리지 않는 그가 고맙기까지 하다. 타자화되고 배타적 공동체로 둡갑해 버린 현대의 기독교를 보면 한숨이 나오지만 이런 책은 위로와 위안을 준다. 딱 한 가지 책을 비하하는 태도는 맘에 들지 않는다. 물론 제도가 책보다 우월하다는 점은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지만 말이다. 그래도 이것쯤은 용서하리라. 얻은 것이 많으니 말이다.

 

그러나 저러나 다음 책은 뭘로할까? [불안]이 좋을까 [영혼의 미술관]이 좋을까. 아무래도 신간부터 읽는 것이 우선이지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토리 2014-01-14 17: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도 알랭드보통의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에 감명받아서
보통님의 책을 다 읽었어요^^

낭만인생 2014-01-15 11:39   좋아요 1 | URL
그렇군요. 저도 이 책은 보통의 처음 책이었습니다. 좋아서 계속 읽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