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학 명강 동양고전 -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들이 들려주는 ㅣ 인문학 명강 시리즈 1
강신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지독하고 치열하다. 하나의 고전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한 문장으로 정리한다면 말이다. 인문학 열풍은 거품이 아니라 Ad Fontes 즉 본질로의 귀향이다. 중세 이후 세계는 이성과 합리적 사고가 지배하는 유럽적 사고가 시대를 이끌었다. 데카르트가 포문을 열었던 합리주의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의문보다 합리적 사유와 과학적 검증을 최고로 여기는 논리적 사유의 시대를 이끌어 냈다. 이러한 사고의 패러다임은 철학을 발전시키고, 상업과 과학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서양 철학의 자기가 아닌 모든 것을 타자화시킴으로 스스로를 인간과 자연으로부터 고립시켰다. 현대의 질병은 서양철학의 영향으로 인한 타자화에서 발생한다. 한계에 다달은 것이다. 이제 다시 동양철학에 주목해야 한다.
플라톤 아카데미에서 인문학 만찬을 준비했다. 16명의 인문학 전문가를 초청하여 강연을 하게 한 것이다. 이것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자랑스러운 강연자들의 이름을 적어보자. 강신주, 고미숙, 김언종, 김영수, 박석무, 박웅현, 성백효, 신정근, 심경호, 이광호, 이기동, 정병설, 정재서, 주경철,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형조가 그들이다. 철학자, 평론가, 대학교수, 광고인까지 참여한 향연이다.
모두 14명의 강사가 12권의 동양고전을 소개한다. 2012년 학술정보원에서 고문헌 활용과 대중화 방안을 위해 '동양고전독서프로그램'을 계획하던 중 플라톤 아케데미의 지원을 받아 시작되었다. '동양고전, 2012년을 말하다'로 정하고 연세대학교 동양고전 필독서에서 14종을 엄선하여 동양고전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세대 뜰에서 진행되었다. 이 책은 강연을 모은 것이다. 그래서 쉽게 읽히며, 강연장이 뜨거운 열기를 어느 정도 느낄 수 있다.
필자는 한 때 중국 고전에 빠져 한 해를 몽땅 중국 고전을 읽는 데 소비한 적이 있다. 당시 아득하게만 느껴지던 중국고전을 직접 만나면서 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 서양고전이 자기에게서 타자로의 시선 이동이 있다면, 동양고전은 타자를 통해 자기를 보고, 자연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한다. 박웅현은 이러한 동양고전의 묘미를 법정스님의 이야기를 빌어 와 설명한다.
"지식은 바깥의 것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지만 지혜는 안의 것이 밖으로 나가는 것이다."
동양 고전은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라 이른다. 유학의 기본은 격물이며 끝이 제가평천하이다. 중간에 수진에 들어가 있다. 사물의 원리을 깨치고 자신을 돌아보며, 마지막으로 타자 즉 가정과 국가 나아가 천하를 다스릴 수 있다 했다.
동양고전은 곧 중국고전으로 통한다. 그만큼 중국의 영향이 크다. 그럼에도 이번 강연에서 조선의 대학자들을 충분히 배려했다. 다산의 <목민심서>, 한혜경 홍씨의 <한중록>, 김시습의 <매월당집>와 <금오신화>,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이다. 이것은 참 잘한 일이다. 중국의 것만으로 최로로 여기는 사대주의적 정신을 버리고, 조선도 동양이며 사상을 주도할 만큼 탁월한 사상가들이 있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크게 세 주제로 나누었다. 첫장은 동양고전으로 인생을 만나고, 둘째 장은 동양고전으로 행복을 꿈꾸고, 마지막 셋째장은 동양고전으로 창조를 발견한다. 논어, 목민심서, 성학십도, 격몽요결, 한중록 등은 인생에대한 성찰을 주는 고전들이다. 맹자와 장자, 중용과 사기, 시경은 둘째 장에서 행복을 꿈꾸는 주제로 다룬다. 마지막 창조는 산해경, 매월당집과 금오신화, 열하일기 등을 다룬다.
그러고 보니 아직 읽지 않은 책이 몇 권 눈에 들어온다. 성학십도와, 산해경, 매월당집이 그것이다. 산해경의 경우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한다. 생고하기 그지 없는 책인데도 우리나라의 고대신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한결같이 고전 전문가들이다보니 읽기만 해도 고전의 깊이와 넓이를 헤아리기 힘들 지경이다. 고미숙이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핵심 키워드는 유머와 역설'이라 말한 것은 약간 의외였다. 딱딱하고 고지식한 조선 선비로만 인식해온 박지원을 '유머와 역설'이란 수식어로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 것이다. 과연 그럴까? 읽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다.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건 아무래도 맹자다. 성선설이란 단 한 단어로 맹자를 정의해 버린 야박한 중학교 도덕책으로 접한 맹자이다. 그를 읽고 나서 성선설이 아니라 인간에게서 가능성을 끊임없이 발견하고자하는 열정이라고 재인식했다. 맹자 강연을 맡은 성백효 교수는 맹자는 인간다움을 통해 행복을 추구한 인물이었다고 말한다. 맹자의 저작시기였던 전국시대는 말 그대로 전쟁과 살육이 끊임없이 일어났던 시기다. 맹자는 전쟁과 살육의 중심에서 서로 좋은 점을 발견하고 착하게 살자고 외쳤던 평화주의자였던 셈이다.
"요즘은 착하게 살면 손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맹자는 오히려 착하게 살면 이익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말씀은 사람을 믿고 사랑하는 마음에서 발화된 것입니다. 맹자는 진정한 이익이 무엇인지 성찰해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살맛 나는 세상, 사람답게 사는 세상, 서로를 믿어주고 신뢰하고 사랑하는 세상을 꿈꾸었던 맹자, 그는 고전으로 남아 이기주의와 탐욕에 물든어 서로를 수단화시키며 타자화시키는 현대인들에게 외치고 있다. 고전의 향연은 인간을 찾고, 삶의 본질을 묻고, 행복이 무엇인가를 알려준다. 그러니 고전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