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도 복고풍 시대다.

 

구약성경의 전도서에 해아래 새 것이 없다는 기록이 있다. 유행은 돌고 도는 것이다. 전에 있던 것이 다시있고, 다음에도 있을 것이다. H. 카는 역사를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명제로 풀어 나갔지만 결국 유행이란 종속된 주제는 여전히 역사에 뿌리 내리고 있다는 것의 또 다른 해석인 셈이다. 이러한 복고풍의 유행은 옛 것을 그리워하고 새로움에 대한 반동에서 나온 발로이다. 그렇다고 새로운 것이 모두 싫은 것은 아니다. 다만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 내지는 걱정이 앞서기 때문에 옛 것을 놓치고 싶지 않는 것이다. 몇 달 전에 보수동 책방 골목에 가서 주인과 잠깐 대화를 한 적이 있다. 주인의 말은 이제 헌책방은 접어야 할 것 같다는 하수연을 늘여 놓았다. 더 이상 사람들이 찾는 곳이 아니라는 것이다. 관광지기 때문에 그나만 구경하러 와서 몇 권 사가기는 하지만 예전처럼(7-80년대) 헌책방을 찾아 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내 자신도 헌 책방은 잘 가지 않는다. 가끔씩 기분전환을 위해 나오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새책을 서점에서 구입한다. 그것도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에서 말이다. 그러나 주인장의 말에는 일리가 있는 것이다.


이제 헌 책방은 더이상 되지 않는다는 편견에 사로잡힌 주인장과 나에게 새로운 생각의 전화를 준 기사가 나왔다. 중고서점이 "잘" 된다는 기사였다. 9월 1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기사로 '중고서점과 헌책방은 다르다'이다. 물론 이 기사는 기존이 헌 책방과 새책을 다 읽고난 '중고'서적을 구분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둘은 서로 다르지 않다. 다른 기사에서는 헌 책의 인기 이유가 경기 불황이라고 말한다. 이것또한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그럼에도 뭔가 부족한 것이 있다. 기존의 헌 책방이 갑자기 사람들이 몰려 오는 이유는 다른데 있어 보인다. 이것은 신간 서적에서도 그 '낌새'를 챌 수 있다. 근래에 들어와 발행되는 신간의 대부분은 '이미 출간된 신간'들이다. 인문학 열풍 때문이기도 하지만 유난히도 고전에 대한 인기가 날이 날 갈 수록 높이지고 있다. 검색창에 논어라고 치면 수많은 종류의 [논어]가 검색된다. 서로 다른 출판사에서, 다른 번역자의 논이들이 있다. 또한 논어를 중심으로 한 풀어쓴 논어와 논어를 교육과 경제, 리더십 등에서 응용한 논어들이 즐비하다. 대체 어느 것을 읽어야 진짜 논어를 읽는 것인지도 헤깔릴 정도다. 


아래는 논어를 검색했을 때 검색된 책들이다. 잘 팔리는 순서대로 그대로 올려 본 것이다. 순수한 논어는 홍익출판사의 [논어]와 글항아리에서 출간한 [논어]이다. 요즘 한창 인기있는 풀어쓴 논어인 [집 나간 개]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언제는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전통 유학에 대한 심히 큰 반항심?을 보였던 우리나라가 갑자기 2-3년 전부터 옛 것이 좋다는 슬로건을 내걸더니 독서에 있어서도 고전으로 급 선회하고 있다.

























중고서점과 헌 책방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역시 동일한 것이 아닐까? 경제적인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자, 옛 향수를 찾고 싶어하는 추억의 발로는 아닐까? 적어도 필자가 보기엔 그렇게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는 침물하다. 부동산은 몰락의 조짐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이것을 보여주기라도 하듯 정부에서는 경매연기를 3달까지도 연장해 주는 법안을 추진중이라고 한다. 경기침체를 예상한 때문이다. 제조업 분야에서도 긴장을 하고 있다. 엊그제 신문에는 아직 한 번도 없었던 르노 삼성에서 자유퇴직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말이 자유퇴직이지 '구조조정이 아니냐?'라는 우려 목소리도 끊이지 않고 있다. 


어쨋든 이러한 이유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을 되돌아보게하고 위기를 극복하고자 지혜를 얻기 위해 서점으로 몰려들게 한다. 그것도 헌책방과 중고서점으로 말이다. 알라딘에서 중고 서점을 열자 많은 우려와는 다르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서울과 부산이라는 대도시를 넘어 중소도시에도 중고서점이 들어설 것이라고 한다. 또한 헌 책방을 찾는 이들이 젊은 층으로 많이 옮겨 갔다고 말한다. 이렇게 책의 복고풍 시대는 다시 돌아온 것이다. 


인문학을 광고도하고, 인문학으로 공부도하고, 인문학으로 돈도 벌고, 인문학으로 랩도하고... 인문학으로 뭐든지 다한다. 과연 그럴까? 그렇다. 이제 인문학은 순수한 학문을 넘어 좀더 넓은 영역으로 자신의 지경을 넓혀 가고 있다. 이러니 인문학 복고시대라고 말해도 껄끄럽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언제 이 복고풍이 끝날지 모른다. 수천년의 지혜를 찾으려는 사람들이 어려운 시기에 많은 법이다. 그러나 역설이다. 계속 잘하기 위해 평상시에 인문학을 찾아야 할 터인데 어려울 때만 찾으니 말이다. 이것은 기쁜 가운데서도 서글픈 우리의 자아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