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과 학문의 균형잡힌 안목으로  

기독 지성을 위한 지적 만찬 

진리는 평범한 것이다. 어렵다면 진리가 아니다. 초대교회 이단이었던 그노시스와 같은 철학적 사변을 통찰한 극소수만의 진리라면 가짜진리다. 진실이란 항상 쉽고 누구나 알아 듣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살림출판사에 펴낸 <우리 시대의 신학총서 시리즈>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충족하면서도 결코 가볍지 않는 기독지식인들을 위한 지적 만찬이다. 

신학, 과학, 철학, 종교학, 윤리학을 총 망라해 저명한 외국 복음주의 학자들의 대표적인 저서들과 최신의 학문적 담론과 이슈를 담았다. 인문교양수준에서 담아내었기 때문에 기독교에 문외한이라 할지라도 많은 부분을 공감할 수 있으며,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추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1. 현대과학과 기독교 논쟁 / 리처드 칼슨 저  

경험이과 논리를 전제하는 과학, 경험과 실험을 뛰어넘는 신앙의 조화는 불가능한 것일까? 지금까지 있었던 과학과 기독교논쟁의 쟁점이 무엇인지 뛰어들어가 본다.

2. 신앙과 이성 / 로날드 내쉬 

신앙은 현실을 뛰어넘는 초월의 세계를 추구한다. 이에비해 이성은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다. 합리적 세계를 뛰어넘지 못한다. 엄밀하게 말한다면 신앙과 이성은 서로 반하거나 합하지도 않는다. 수평선 이론처럼 영원히 만나지 못하는 멀고도 가까운 '그대'이다. 탁월한 변증학자인 도날드 내쉬의 평으로 이어졌다.

3.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 윤리 / 윌리엄 슈바이커  

절대권위를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신적기원을 가지지 않고는 풀수 없는 윤리를 어떻게 제시할 수 있을까? 윌리엄 슈바이커는 모든 것이 상대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속에서 기독교의 윤리를 다루었다. 사회적 계약일수 있고, 상대적 합의일수도 있지만 윤리는 결국 서로의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기독교에 있어서 윤리는 구원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4. 성윤리학 / 스텐리 그렌즈

 

 

 

 

 

 

 

 

5. 현대인을 위한 신학적 미학 / 리차드 해리스 

6. 현대의 철학적 신론 

7. 신과 타자의 정신들 

8. 생명윤리학 / 스콧 래. 폴 콕스 

 

 

 

 

 

 

 

 

9권 신구약 중간사 / 마틴헹겔 

기원전 4세기 페르시아시대 유대인들은 고토로 귀향한다. 그러나 그들의 입지는 너무나 작아진 상태였고, 곧이어 알렉산더에 의해 헬레니즘이 발흥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이 시기는 너무나 짧았다. 유대의 순수함을 보존하기 위한 전쟁이 일어나고 짧게나마 독립하게 된다. 그리고 로마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마틴헹겔이 탁월한 통찰력으로 신구약중간기를 배우는 기회다.

10권 성서의 새로운 이해 / 앙드레 라콕 . 폴 리꾀르 

11권 성경적 문화관 / 루시앙 르그앙

12권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탐구 / 제임스 로빈슨 

13권  신학과 사회구조 / 로빈 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