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각의 과학 - 뇌에서 벌어지는 생각의 시소 게임
프리트헬름 슈바르츠 지음, 김희상 옮김 / 북스넛 / 2011년 5월
장바구니담기


뇌를 믿는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은 과연 진실일까?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것은 사실일까? 사람들은 얼마나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살아가는 것일까? 철학의 시작는 '나'이다. 프로타고라스는 '모든 만물의 척도는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의 기본전제마저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으니, 철학자인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사람도 믿을 것도 못된다고 선포해 버렸다. 즉 사람은 자신만의 주관과 생각의 전제 속에서 판단하고 생각하고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본다면 프로타고라스의 명제는 분명히 맞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한가지 사실은 사람은 만물의 척도이지만, 사람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 문제다. 그러나 사람을 척도로 삼았다가는 수억의 척도-판단기준이 이게 된다.

우리가 생각하고 판단하고 해석하고 행동하는 동안 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 것일까? 프리트헬름 슈바르츠는 '뇌는 일상 속에서 착각을 일으키고 있으며, 보이지 않는 어떤 원래에 의해 뇌가 지배당하고 있다고 말한다. 내가 원하는 것과 뇌가 원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이다. 나는 현재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원한다. 그러나 뇌는 그간의 기억과 체험을 통해 알고 있는 것만을 원하는 것이다. 뇌는 과거에 의해서 현재를 판단하고 해석한다. 현대의 뇌과학은 무의식 속에서 의식의 세계를 지배한다는 프로이트의 정진분석의 주장은 맞는 것이지도 모른다.

뇌는 태어날 때부터 순수한 것이 아니다. 뇌도 조작당하고 뇌도 보이지 않는 어떤 원리에 의하여 지배당하고 조종당한다. 현대 마케팅에서 주목하고 있는 '뉴로마케팅'은 사람들의 뇌를 지배하려는 불순한 의도 중 일부이다. 뇌는 과거의 기억을 가지고 현재를 분석하고 판단하기 때문에 과거에 어떻게 기억을 축적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르게 현재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뇌는 믿을 수 없는 존재이다.

저자는 뇌의 판단을 조종하는 4가지 체계를 소개한다. 보상체계, 감정체계, 기억체계, 결정체계 등이다. 뇌는 이러한 보이지 않는 체계를 통해 조종된다. 철저히 진화론적인 입장에서 풀어가는 것이 내내 마음에 걸리기는 하지만 생물학적 입장에서 뇌의 문제를 해석함으로 보다 객관적인 뇌를 이해할 수 있다.

151쪽에 기록된 대학생과 쓰러진 행인 실험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쓰러진 행인을 도우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오히려 부탁받은 편지를 전달하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었다. 그러나 단 한 사람이라도 도움을 청하자 곧바로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이타심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어떤 무엇인 것이다. 돈을 주면 어떻게 될까? 놀랍게도 돈을 주면 돈을 주지 않고 도움을 청하는 것보다 더 도움을 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것은 자신의 돈을 받고 도움을 주는 욕망의 존재로 보이는 것을 싫어한 탓으로 보인다. 이렇게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는 보이지 않는 어떤 원리에 의하여 지배당하고 있으며, 수정이 가능하다. 자극을 어떻게 주고 습관(자극의 연속)을 어떻게 들이느냐에 따라 전햐 다르게 반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저자는 9장에서 뇌의 다섯가지 패턴을 제시한다. 도망- 죽음보다 나는 것은 어디서난 찾을 수 있어, 버티기-온몸으로 파도를 맞는 바위처럼, 적응-비온 다음에는 해가 뜨리니, 변화-바꿔야만 살아남는다. 내 멋대로 꾸미기-자기 입맛에 맞게 의미 부여하기. 앞의 다섯가지는 인류가 처음 탄생할때부 진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일어났던 위기 극복의 방법이다. 사람들은 어떤 과거의 경험을 통해 뇌는 고정되어있고, 고정된 뇌는 그 틀에 따라 현재를 판단한다. 문제는 과거의 잘못된 기억의 경험이다. 예를 들면, 계단에서 내려오다 구르는 경험이 있으면 나중에도 계단은 자신을 힘들게 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안 좋은 경험은 건물을 지을때 가능하면 계단을 없애려는 경향으로 드러난다. 뇌는 올바른 판단만을 하지 않는다. 축적된 기억에 대한 해석일 뿐이다.

이뿐 아니라 뇌는 착가의 선수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브랜드가 커다란 힘을 지닌 이유는 간단하다. 강력한 브랜드는 뇌가 자동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떠올리도록 유되하기 때문이다.' '아이라인'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눈 높이에 상품을 진영하는 것을 두고 말한다. 가장 잘 팔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눈 높이에 상품을 두어야 한다. 뇌는 자신의 눈 높이나 그 비슷한 높이의 물건을 좋은 것으로 착각하고, 다른 높이는 관심을 잘 두지 않게 된다. 백화점에서 창문과 시계를 두지 않는 것도 이러한 보이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면 뇌는 착각을 일으켜 시간의 개념을 잊어버리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해 버리는 것이다. 뇌의 착각은 수도 없이 많은 것이다. 현대의 기업들은 이러한 뇌의 착각을 조종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이용한다. 그러나 자신의 생각과 판단이 모두 옳다고 믿지 말라.

그럼 우리는 뇌의 지배만 당해야 하는가? 생각의 틀을 바꾸어 보자. 뇌가 기억에 의존하고 생존본능에 의존한다고 좋은 생각, 올바른 판단을 내리도록 그에 상응하는 경험을 축적하면된다. 우리는 그것을 습관이라고 말한다. 또는 종교적 신념을 통해 사고의 전화를 시도해볼 수도 있다. 저자는 올바른 상황 판단을 위해 다음 몇 가지를 따져보라고 충고한다.

* 어떤 목표를 추구해야 하는지 판단하라.
* 상황에 맞는 행동은 무엇인지를 알아내라.
* 비정상적인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라.
* 문제가 얼마나 절박한 것인지 파악하라.
*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따져보라.
* 섬세한 차이에 주목하라.
* 실천 계획에 모순은 없는지 확인하라.
* 실천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무엇인지 알아내라. (329쪽)

결국 이 책은 우리로 하여금 뇌에 지배 당하지 말고, 오히려 뇌를 지배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한 번 잘못 길들여진 뇌는 그것을 토대로 계속하여 착각을 일으키고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러니 좋은 습관을 길들이고, 스스로 뇌를 지배하여 계속하여 뇌를 각성시켜야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