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복수! 복수! 복수는 나의 것

복수! 분명 사람의 할 일은 아니다. 그러나 누구나 복수를 꿈꾸며 살아간다. '그 사람만 없다면 나는 행복해 질 것을' '그 사람 때문에 내가 이 지경이 되었어'라고 생각하면 그를 제거하고 싶어진다. 복수는 결코 우리를 행복으로 엔딩하게 하지 않는다. 그래도 여전히 복수는 달콤하다.  

<극락도 살인사건> 

<극락도 살인사건>은  정통 추리소설이라고 보기에는 힘들다. 추리소설의 극치는 수수께끼같은 문제들이 마지막에 이르러 치밀한 논리와 명쾌한 풀이를 통해서 해석이 되는 것이다. 무의미하게 흩어지고 나누어진 단서들이 한가지 분명한 의미를 부여받음으로 끝나게 된다. 슬프게도 <극락도 살인사건>은 그렇지 않았다 것이다. 섬 사람 모두가 죽어가는 풀수 없는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듯 하지만 모두가 '약물' 때문으로 몰아 버린다. 복수의 이유도, 내용도 없도, 순식간에 사람들이 돌변해서 짐승처럼 서로를 죽인다. 무엇 때문인지도 드러나지도 않는다. 잔인한 살인만이 중반너머까지 이어지는 답답한 지루함이 계속된다. 그러나 마지막에 이르러 그 정체가 밝혀진다. 순진한 의약도?의 약물 투여 사건이었다. 제약회사의 회장이 극락도 주민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한 것이 부작용을 일으켜 서로를 죽이게 한 것이다. 물론 이것도 불투명하다. 어쩌면 이 약은 검증되지 않는 5공 시절의 이데올로기 였는지도 모른다. 극락도 주민들은 이유도 모르는체 실험 대상이 되었고, 자신도 모르는 우발적인 행동과 생각을 하게 된다. 복수는 어쩌면 우발적인, 아니 누군가에 의도된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래서일까 극락도 살인사건은 아무 것도 모르는체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인지도 모른다. 서로를 미워하고, 서로에 대하여 분노하고 서로에게 까닭없이 삿대질을 해댄다. 그것은 어쩌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어떤 존재에 의해 투여된 '약물'의 부작용일지도 모른다. 영화는 명쾌한 답을 주지 않지만, 그래서 이 영화는 더욱 강렬하게 우리의 삶을 궤적한다.

 

 

 

 

 

 

 

 

그런데 복수는 왜하고 싶어하는 것일까? 정의가 때문에? 아니면 내가 손해를 보았기 때문에? 하여튼 복수는 그가 나에게 해를 주었기 때문에 그에 응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복수는 법으로 금지다. 복수는 국가가 대신한다. 개인적을 복수는 불가능하다. 만약 복수를 하려면 국가의 복수?를 받아야한다. 그럴 자신이 있다면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에 이어 박찬욱 감독의 '복수 삼부작'으로 알려진 <<복수는 나의 것>>, 그러나 너무나 어두운 내용이라서 사람들은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 무서워도 일단 웃겨야 한다는 사소한 진리를 놓치고 말았다. 어쨌든 이 영화는 복수의 복수를 낳은 복수의 악순환을 그려주었다. 농아인이었던 류는 극렬사회주의자인 애인과 함께 누나의 신장이식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중소기업 사장의 딸을 유괴하여 돈을 요구한다. 그러나 누나는 이 사실을 알고 죄책감에 시달려 자살을 택한다. 누나를 묻어주기 위해 물가에 간 찰라 사장이 딸이 익사 사고로 죽게 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사장은 다시 류를 찾아내 복수하지만 극렬사회주의자였던 류의 애인의 동료들에 의해 다시 복수를 당하게 된다.  복수는 또다른 복수를 계속하여 부를 뿐이다. 

 

 

 

 

 

 

 

 

 

사실 <복수는 나의 것>의 주제는 사회적인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어처구니 없는 복수일 뿐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싶어 안달이다. 의외로 복수는 이러한 어처구니 없는 상황 속에서 일어난다. 의도하지 않았던 사고로 죽은 어떤 남자. 그러나 그의 아들이 아버지를 죽인 원술?에게 복수한다. 그리고 다시 동생이 복수한다. 알고보면 복수는 어처구니 없는 것이다.  

<죽이고 싶은> 

영화 <죽이고 싶은>은 기억에 의한 미움으로 나타는 복수임이다. 복수는 기억에서 나온다. 문제는 왜곡된 기억이라는 것이다. 잘못된 기억을 소유함으로 그 기억에 의하여 상대를 미워하고 복수하려는 마음을 갖게 된다. 그렇다면 기억을 상실하면 복수심도 없어진다는 결론에 이른다.  

  

 

 

 

 

 

 

 

  

 

 

 

같은 입원실에서 서로를 죽이기 위해 기묘한 방법을 동원하지만 복수는 미수에 그친다. '수진'이라는 한 여자에 대한 서로다른 기억을 갖게 됨으로 서로에게 불신과 복수심을 갖는다. 중반부까지 이어지는 왜곡된 기억의 해석으로 서로를 죽이려하는 그들만의 싸움에 관객은 내심 불편해지는 영화다. 관객들이 영화에 몰입하지 못하도록 관객를 타자로 밀어내 버리는 어색한 플롯 때문에 겉도는 영화다. 어쨋든 마지막 부분에서 김서형분이 열연한 숨겨진 실체 '백과장'의 직접화법을 통해 그들의 복수가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가를 보여준다. 


 

"사람은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한다"
 

우리가 믿고 확신하는 기억이란 것이 얼마나 황당하고 왜곡되시 쉬운 것인가를 일깨워주는 촌철살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