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벽대전은 두 미인을 얻기 위해 조조가 일으킨 전쟁이다? 

 

영화 적벽대전 속에서는 적어도그런 느낌이 든다. 실제로 제갈량은 손권을 찾아가서 대교와 소교를 조조에게 바치면 되돌아 갈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주유가 열받는다. 소교는 자신의 아내이고 언니 대교는 손권의 아내이었기 때문이다. 어떤 면에서 손권이 조조와의 전쟁을 결정한 이유는 제갈량의 음흉한? 계책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어쨋든 영화는 그렇게 흘러갔다. 조조와 소교가 차를 마시며 시간을 지연하는 바람에 북동풍이 동남풍으로 바뀌고 만다. 어떤 곳에서는 제갈량이 묘기를 부렸다고는 하나 이는 너무 어색한 과장이다. 

역사 속에서도 종종 이러한 여인을 얻기 위한 전쟁들이 종종 일어났다. 헬레나를 훔쳐 달어난 바보 같은 트로이 왕자가 그 대표적인 이야기이다.  여포는 어떤가? 초선을 얻기 위해 자신의 양부인 동탁을 죽이기까지 한다.  어쩌면 남자들일 일으켰던 수많은 전쟁들은  한 낮 여자를 얻기 위한 속셈이었는지도 모른다.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 운명적 만남은 결국 스스로를 죽였고, 로마의 새 역사가 기록된다. 한 여자 때문에......

인간이란 참 묘한 존재인가 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sm 2011-06-27 12: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기에서는 순수하게 역사적으로 볼때 여자 문제로 전쟁이 발생 했다고 보기에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많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구분해야 할 기준은 픽션은 픽션으로 봐야만 한다는 점이다. 적벽대전 이라는 영화는 2부 자리의

매우긴 전쟁 영화스타일의 방식을 이끌기 때문에 실재 소교로 인해 전쟁이 발생 하였다는 점은 어디 까지나 지루한 전쟁

영화에 멜로적인 속성을 집어 넣는 것에 불과 하다. 마찬가지로 트로이 라는 헐리우드 영화도 같은 맥락에 속하다.


일반적으로 전쟁이라는 양상은 정치적인 여러 이유로 인해 복합적으로 얽히고 설키면서 결국 최종적으로 어떤 계기로

인해 발생하는게 전쟁인데(물론 그 시발점이 여자일수도 있지만), 특히 영화나 소설은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

을수 있는 요소로는 적합한 주제는 아니기 때문에 주로 멜로 적인 속성을 집어 넣는다고 여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