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대한민국의 국민 독서 실태는 성인들은 덜 읽고, 학생들은 더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2009 국민 독서 실태 조사'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의 독서율은 71.7%로 작년 대비 0.5% 감소했다. 지난 1년 동안 '한 권 이상의 일반도서를 읽었다고 응답한 성인은 10명 중 7명으로 성인 3명은 1년 동안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은 것이다. 경기 한파의 영향이 성인의 독서열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초중고의 한 학기 독서율은 93.7%를 기록하며 작년 대비 4.6% 증가해 2000년 이후 최고의 독서율을 기록했다.


  관계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불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도서 구입비에 대한 지출을 아끼지 않았고, 입시제도가 입학사정관제를 확산하는 쪽으로 기울어 독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성인의 연간 독서량은 10.9권으로 2008년보다 1권 감소했고, 

학생들의 한 학기 독서량은 16권으로 전년보다 2권 증가했다. 

학생의 경우 초등학생은 27.6권, 중학생 12.3권, 고등학생은 8.1권으로 작년보다 모두 2권씩 증가했는데, 이는 1994년 첫 조사 이래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문화부 측은 '학교도서관 이용률 증가와 아침독서' 시행 확산 등이 학교 독서환경을 점차적으로 개선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독서 시간은 성인의 경우 평일 28분, 주말 29분으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독서율, 독서량과 마찬가지로 전년보다 감소한 결과다. 학생의 경우 평일 45분, 주말 50분으로 전년보다 2-4분 증가했는데, 학교급이 내려갈수록 독서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성인은 여가를 즐길 때 TV시청을 한다고 대답한 비중이 가장 많은 반면, 독서는 중하권에 머물렀다. 초등학생은 인터넷에 이어 네 번째, 중학생은 휴대폰에 이어 여섯 번째, 고등학생은 수면, 휴식에 이어 여덟 번째, 성인은 운동에 이어 일곱 번째로 독서를 한다고 대답했다.


출처 한국독서능력 개발원(http://readingcenter.cafe24.com/zbxe/board_05/10167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낭만인생 2010-12-17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 독서보고라 퍼오기 했습니다. 원사이트에 가면 많은 유익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